中, 여행상품 판매 중단조치… 면세점ㆍ호텔업체 간 과당경쟁 충격 더해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ㆍTHAAD) 배치에 대한 중국의 보복이 여행ㆍ호텔ㆍ면세 등 관광산업 전방위로 퍼져 나가는 가운데, 사실상 두 손 두 발을 놓은 정부 대응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2일 중국 국가여유국은 베이징 일대 여행사에 한국행 관광과 관련해 이미 계약된 상품을 이달 중순까지 모두 소진하고 온ㆍ오프라인을 망라한 전면적인 상품 판매 중단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단체 패키지 여행을 비롯해 사실상 개인이 항공권을 사서 숙소를 예약하는 자유 여행도 모두 금지된다. 이 같은 한국 여행상품 판매 중단 조치는 베이징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한국행 단체관광뿐 아니라 여행사를 통한 개별 자유 여행도 불가능해졌다.
문제는 이번 조치로 그동안 중국 관광객에 의존이 컸던 국내 여행사나 면세점, 호텔, 항공사들이 직격탄을 맞게 됐다. 그동안 정부가 관광산업 육성 정책으로 과당경쟁을 촉발했던 점을 고려하면 중국 사드 보복 후폭풍은 관련업계의 단순 피해를 넘어 생존 경쟁으로 내몰고 있다.
최근 여행업계에 따르면 중국인 단체 관광객 수요는 지난해 사드 배치 발표 이후부터 계속 줄었으나, 오히려 개별 관광객이 늘어 전체 방한 중국인 관광객은 지속적 증가세를 유지해 큰 피해를 보지 않았다. 하지만 중국 당국의 전면적 여행 제한 조치로 인한 피해는 직접적인 중국 관광객 유입 감소로 이어져 호텔, 면세 등 관광업계의 피해가 상상을 초월한다는 것이 관련업계의 전언이다.
이미 면세 특허 남발과 변칙적 정책 기조로 과당경쟁을 불러일으킨 정부의 탁상행정으로 면세업계는 사실상 생존 투쟁을 벌이고 있어 그 충격은 더욱 크다. 더군다나, 서울 명동 호텔업계 역시 용적률 완화 등을 포함한 지난해 말까지 한시적으로 시행된 ‘관광숙박시설 확충을 위한 특별법’ 발효 탓에 애초 30개가량이던 호텔 수가 4년 사이 70여 개까지 우후죽순 증가한 것도 큰 문제다.
시내면세점이 급속도로 늘어난 데에 따른 과당경쟁, 최근 사드 배치 보복까지 타 업계 전반으로 후폭풍이 몰아치는 가운데, 정부는 뒷짐을 진 채 뚜렷한 대응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항공사 역시 사드로 인한 한ㆍ중 갈등이 장기화한다면 여객 감소로 인한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상황을 면밀히 살피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대한항공은 중국 28개 도시 38개 노선, 아시아나항공은 24개 도시 32개 노선에 취항하고 있다. 이들 항공사의 중국 노선 매출 비중은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각각 13%, 20% 규모다. 저비용항공사(LCC)의 경우 중국 노선 매출 비중이 더욱 큰 만큼 한ㆍ중 갈등이 장기화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