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분사안 주총 통과… 4월부터 6개 독립회사로 전환

입력 2017-02-27 12:10수정 2017-02-27 1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현대중공업 울산 본사(뉴시스)

현대중공업이 노동조합의 강한 반발 속에 6개 독립회사 체제로의 전환을 사실상 확정했다.

현대중공업은 27일 오전 울산시 한마음회관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분할 계획서 승인 안건을 원안 통과했다.

이에 현대중공업은 △현대중공업(조선ㆍ해양) △현대일렉트릭&에너지시스템(전기ㆍ전자) △현대건설기계(건설장비) △현대로보틱스(로봇) 등으로 인적분할된다. 지난해 12월 분할한 현대글로벌서비스(서비스 부문)와 현대중공업그린에너지(그린에너지 부문)를 합치면 현대중공업은 6개사로 나누어진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조선ㆍ해양플랜트ㆍ엔진 등 존속 사업부문은 변경 상장하고, 나머지 부문은 인적분할을 통해 3개 회사로 재상장할 계획”이라며 “재상장되는 현대중공업과 신설회사의 주식은 5월 10일부터 거래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날 주주총회에서는 분할 신설회사의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 안건도 가결됐다. 현대일렉트릭&에너지시스템은 김우찬 법무법인 동헌 대표변호사 등 3명 △현대건설기계는 손성규 연세대 경영대학 교수 등 3명 △현대로보틱스는 김영주 법무법인 세종 고문 등 3명 등을 각각 감사위원회 위원으로 뽑았다.

지주사는 현대로보틱스다. 분할 과정에서 현대중공업이 보유하고 있던 자사주 13.4%, 현대오일뱅크 지분 91.1%를 넘겨받아 지주사 요건을 갖추게 된다.

강환구 현대중공업 사장은 이날 인사말에서 “사업분할은 장기화하고 있는 불황에서 각 사업의 역량과 가치를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한 결정”이라며 “각 회사를 업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회사로 만들어 주주가치도 극대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제는 극단으로 치달은 노조와의 갈등을 어떻게 푸느냐는 것이다. 노조는 이번 분사가 고용 불안, 근로조건 저하, 노조 무력화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이날 주총장 현장에서도 분사안 가결을 두고 현대중공업 임직원은 노조 관계자와 밀고 당기는 몸싸움을 벌였다.

정치권 일각에서도 회사 분할의 진짜 의도가 경영 효율화가 아니라 대주주 지분율을 높여 지배체제를 강화하려는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모든 종업원의 고용과 퇴직금 등 처우를 승계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