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창수 전경련 회장, 해결 과제 '산더미'… 4대 그룹 공백은 어떻게?

입력 2017-02-24 10: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 여의도동 전국경제인합회관 전경 (사진제공=이투데이 DB)

허창수 회장이 또 다시 전경련 '구원투수'를 자청하고 나섰지만, 상황이 녹록지 않다. 바닥까지 추락한 신뢰 회복은 물론 4대 그룹의 탈퇴로 인한 공백까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한 상황이다.

특히 정치권까지 가세한 해체 압박을 물리칠 수 있는 쇄신안을 내놓을 수 있을 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허 회장은 24일 유임 결정 후 취임사를 통해 △정경유착 근절 △전경련 투명성 강화 △씽크탱크 기능 강화 등 3대 혁신방향을 내놓으며 전경련 쇄신 방향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허 회장은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부당한 외부의 압력에 단호하게 대처하겠다"며 "정경유착이라는 불미스러운 일로 심려를 끼치지 않도록 재발방지 시스템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사회협력회계를 폐지한다고 허 회장은 밝혔다. 사회협력회계는 사회공헌 목적으로 만들어졌지만 그동안 어버이연합 등 보수 단체를 지원해온 것으로 드러나면서 비난을 받았다.

이와 함께 그동안 전경련 쇄신안 가운데 하나로 재계 안팎에서 제시했던 싱크탱크 기능 강화를 약속했다. 허 회장은 "경제단체로서 전문성을 극대화하여 회원 여러분과 국민의 아이디어를 한데 모으겠다"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 경제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허 회장이 향후 추진할 쇄신안들이 힘을 받을 수 있을지 우려가 큰 상황이다. 4대 그룹의 탈퇴로 인한 공백때문이다. 떨어진 위상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당장 예산이 문제다. 연간회비의 70% 이상을 책임져 온 4대그룹이 탈퇴하면서 올해 예산으로 책정한 807억 원을 마련할 수 있을 의문이다.

이에 재계에서는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일단 전경련은 혁신위원회를 구성해 구체적인 혁신안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 혁신위에는 허 회장을 위원장으로, 박영주 이건산업 회장,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이웅열 코오롱 회장 등 회장단 3인과 외부인사 3인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