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동반진출 활성화…정부·대기업·협력기업 역할 분담 필요"

입력 2017-02-16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해외 동반진출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 대기업, 협력기업 등 산업생태계 주체별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는 배종태 카이스트 교수 연구진과 함께 '해외 동반진출 현황 및 정책방안 도출'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 동반진출 시 협력기업은 해외진출 이전에는 ‘정보 부족’(50.0%), 진출 이후에는 현지 정부정책, 경기변동 등 ‘외부환경 변화’(56.0%)에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해외에 진출한 협력기업의 10개 중 4개 기업은 현지에서 신규 거래선 발굴 등 판로를 개척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는데 이같은 협력기업의 자생노력 부족은 대기업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배종태 교수는 “협력기업이 현지 생산량을 대기업에게 전량 납품하는 기업 비율이 81%로 나타나는 등 해외 진출 이후 신규거래선 발굴 등 자생력 강화에 대한 노력을 하지 않고 있다”며 “현지에서 요구되는 경쟁력을 갖추지 않는다면 대기업에게 해외 동반진출 활동은 부담감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해외 진출 전 대기업의 지원 활동 중 가장 효과적인 것이 무엇이었냐는 질문에는 ‘해외진출 법률자문’(17.0%)과 ‘해외시장 개척단 파견’(17.0%)이 가장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응답했다.

또한, 진출 후 효과적인 지원 활동으로는 ‘현지 커뮤니티 운영’(29.0%)과 ‘제조공정개선 등 기술지원’(23.0%) 등을 꼽았다.

보고서는 이같은 결과를 토대로 해외 동반진출 활성화를 위해 정부, 대기업, 협력기업 간 주체별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우선 정부는 해외진출 지원 전담기관 설치를 통해 중소기업 지원방안을 세분화하고 해외시장 동향 및 국가별 법률 정보에 대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대기업은 협력기업을 경쟁력 강화 및 성장의 파트너로 인식하는 점이 필요하며, 협력기업은 대기업과 정부의 지원을 적극 활용하여 판로 개척을 하려는 등 자구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명한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 소장은 “불안정한 글로벌 경기 속에서 대기업과 협력사가 해외 동반진출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해외 진출 기업 숫자 보다는 근본적으로 협력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