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정부윤리청, 백악관 선임 고문 콘웨이 징계 요청

입력 2017-02-15 17: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캘리엔 콘웨이 미국 백악관 선임고문. 출처 = AP연합

미국 정부윤리청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장녀인 이방카 브랜드를 홍보한 켈리엔 콘웨이 백악관 선임고문을 징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 정부윤리청의 월터 샤웁 청장이 “콘웨이는 윤리 기준을 위반했으며 징계 조치를 받아야 하는 근거가 있다”고 밝혔다고 14일(현지시간) CNN머니가 보도했다. 샤웁 청장은 백악관이 조사를 시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콘웨이는 지난 9일 폭스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방카 트럼프’의 물건을 사들이라고 말하고 싶다”며 “저는 이미 몇 개 갖고 있고, 지금 여기서 광고할 것”이라며 노골적으로 이방카가 만든 패션브랜드인 이방카 트럼프를 홍보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방카 트럼프 제품을 판매 중지한 노드스트롬에 대해 비난한 것을 해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발언이다. 트럼프는 노드스트롬이 이방카 트럼프의 제품을 더는 팔지 않겠다고 선언하자 “노드스트롬은 내 딸을 부당하게 대우했다”고 비판했다.

폭스뉴스의 보도는 방송 직후 논란이 됐다. 미 하원 정부개혁감독위의 일라이자 커밍스 의원은 “정부윤리청에 윤리법 위반이 아닌지 판단을 의뢰하자”고 주장했다. 콘웨이 고문은 논란이 확산하자 트럼프 대통령에게 사과했다. 그 뒤 콘웨이는 “트럼프 대통령은 나를 100% 지지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연방정부의 윤리 기준에 따르면 공무원은 자신의 지위를 사적으로 이용해 제품, 서비스 또는 기업을 보증할 수 없다. 그런데 정부윤리청은 자체 집행 권한이 없다. 윤리 기준을 위반한 연방 직원에 대한 징계 조치는 직원이 속한 기관에서 지시를 내려야 한다. 콘웨이의 조사 여부는 백악관의 손에 달린 셈이다.

2015년 기준으로 미 정부윤리청은 1584건의 징계를 취했다. 징계 수위는 단순 주의부터 해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가장 흔한 징계 사유는 친구나 가족으로부터 제품이나 서비스 홍보를 부탁받고 공적 지위를 남용해 이를 수행한 것이다. 1500여 건의 징계 중 형사 기소까지 간 사안은 매우 소수라고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