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원, 므누신 재무장관 인준안 통과

입력 2017-02-14 10: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세제 개혁·인프라 지출 진두지휘 등 막중한 책무

미국 상원에서 13일(현지시간)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 내정자에 대한 인준안이 표결에 부쳐져 찬성 53 반대 47로 통과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므누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진하는 금융규제 완화와 세제 개혁의 선봉장이라는 막중한 책무를 맡게 됐다. 그는 지난해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선거캠프의 자금 담당이었다. 17년간 골드만삭스에서 일하고 나서 지난 2002년 헤지펀드인 듄캐피털매니지먼트를 공동 설립해 독립했다. 할리우드 영화에 자금을 대는 등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인준 과정에서 므누신이 인디맥뱅크를 인수하고 나서 막대한 차익을 남기고 CIT그룹에 매각한 것에 대한 논란이 빚어졌다. 이후 이 은행은 원웨스트뱅크로 사명을 바꿨다. 트럼프 정부와 공화당은 글로벌 금융위기 시대에 보여준 인수는 그가 사업에 정통한 인물임을 보여준다고 옹호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므누신이 인수했던 은행이 수천 채의 주택압류에 관여했으며 금융위기 이후 대출을 충분히 하지 않아 미국 경제에 기여하지 않았다고 반대했다.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인 척 슈머는 이날 “내각 구성원은 대통령의 통치방법과 해당 정부의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알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한다”며 “트럼프는 근로자 계급에 가장 반(反)하는 인물을 골랐다”고 비판했다.

공화당 소속의 오린 해치 상원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재무장관 인준은 미국 역사상 가장 길었다”며 “나의 동료들이 제기했던 주장 중 그 어떤 것도 조사할만한 가치는 없다”고 반박했다.

재무장관에 대한 초당파적 지원이 부족한 것은 이례적인 사례라고 WSJ는 전했다. 트럼프의 전임자인 버락 오바마가 2009년 첫 번째 재무장관인 티머시 가이트너를 뽑았을 당시가 므누신에 이어 가장 반대표가 많았는데 당시에도 반대는 34표에 불과했으며 공화당에서도 찬성표가 10표나 나왔다.

이에 므누신이 세제 개혁과 인프라 지출안, 도드-프랭크법 개정 등을 진두지휘해야 하는 상황에서 양당의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당장 므누신은 연방정부의 채무한도 적용 유예 기간 만료일인 3월 15일까지 채무한도를 증액하거나 다시 유예시켜 연방정부가 부채를 상환하지 못하는 사태를 막아야 한다.

국제적 측면에서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이후 제재에서 재무부가 주도적인 역할도 해야 한다. 의회에 오는 4월 반기 환율보고서를 제출할 때 트럼프가 위협했던 것처럼 중국과 일본 등을 실제로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지도 주목을 받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