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 부동산 대책 이후 5개 지방광역시의 1순위 청약 비중이 대책 발표 전보다 눈에 띄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11·3 대책 발표 후 3개월(11월, 12월, 1월)간 5개 지방광역시의 1순위 청약자는 34만 4246명으로 전년 동기(55만 2786명)대비 37.7% 감소했다.
전국적으로는 80만 1348명이 1순위 청약에 나섰다. 이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 1순위 청약자(105만 7913명)보다 24.3%가 감소한 수치다.
11·3 대책 발표 후의 이같은 청약 기록은 발표 직전 3개월과 비교하면 더 눈에 띈다. 11·3 대책이 발표되기 전인 8월~10월 3개월 동안 전국 1순위자는 149만 9763명이다. 전년 동기(94만 9265명)보다 58%가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1순위자들이 그만큼 청약을 주저했다는 의미가 된다.
5개 지방광역시 가운데 가장 감소폭이 큰 지역은 울산이다. 총 23만 9211명에서 4만 6017명으로 무려 80.8%가 감소했다. 이어 대구가 20.9% 줄었고, 11·3대책 조정지역으로 지정된 부산은 18.5% 떨어졌다.
특히 발표 전 3개월 간 5개 지방광역시의 1순위 청약자는 63만 9158명으로 전년 동기(48만 9389명) 대비 30.6%가 증가했다. 결국 1순위자 감소에 11.3대책의 영향이 그만큼 컸다는 얘기다.
이들 광역시의 매매가 변동률을 살펴보면 1순위 청약자 감소폭이 큰 대구, 울산 지역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울산은 11·3대책 이후 3개월 간 -0.16%를 기록했고, 대구는 -0.47%로 5개 광역시 가운데 가장 하락폭이 컸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11·3 이후 대출규제가 더 강화돼 청약자들은 검증된 곳에 안정지원 하려는 성향이 커져 지역 및 단지간 양극화가 심화될 것” 이라며 “특히 올해는 금리인상 가능성, 입주물량 증가, 과열지역에 대한 추가규제 가능성 등이 있어 6개월, 1년 뒤 전매할 목적으로의 청약은 지양하고 준공 이후의 가치를 고려한 장기적인 안목의 청약에 무게를 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