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산업생산이 서비스업과 공공행정에서 늘었지만, 공업과 건설업에서 감소하면서 11월 상승세 전환 이후 정체현상을 보였다. 지난해 12월 제조업 평균 가동률도 하락세로 전환했고 같은 기간 소비도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2개월 연속 소비침체를 겪었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2016년 12월 산업활동동향'에서 전체 산업생산이 전월대비 0.0%에 머물렀다. 전체 산업생산은 지난해 9월 0.9%, 10월 0.4%씩 뒷걸음질 치다가 11월 3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지만 12월에 증가세를 이어가지는 못했다.
광공업생산은 석유정제(6.0%), 반도체(2.3%) 등에서 증가했으나 전자부품(-5.5%), 금속가공(-5.5%) 등이 줄어 전월보다 0.5% 감소했다.
제조업 재고는 전달보다 0.4% 감소했지만,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0.8%p 하락한 73.0%를 기록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금융ㆍ보험(-0.8%) 등이 감소했지만 출판ㆍ영상ㆍ방송통신ㆍ정보(5.6%) 등이 늘어 전월보다 0.3% 늘었다.
소비를 의미하는 소매판매는 승용차 등 내구재(1.0%)가 증가했지만 의복 등 준내구재(-4.2%), 차량연료 등 비내구재(-1.2%) 판매가 줄어 전월보다 1.2% 감소했다.
이미 이뤄진 공사실적을 의미하는 건설기성은 건축(-0.5%), 토목(-5.1%) 공사 실적이 모두 감소하며 전월대비 1.8% 줄었다.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서비스업 생산지수가 감소했지만 소매판매액지수, 내수출하지수 등이 증가해 0.2p 상승했다.
앞으로의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소비자기대지수, 수출입물가비율 등이 감소했지만 장단기금리차, 기계류내수출하지수 등이 증가해 0.1p 상승했다.
어운선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광공업은 마이너스로 전환됐지만 서비스업 생산이 2개월 연속 증가해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과 동일한 수준 유지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전체 산업생산은 서비스업ㆍ건설업 등에서 증가해 전년대비 3.1% 늘었다. 이는 2011년 3.3% 증가 이후 5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2.4%로 전년보다 1.9%p 하락했다. 이는 1998년 67.6% 이후 최저 수준이다.
같은 기간 소매판매는 전년보다 내구재, 준내구재 소비가 늘면서 4.1% 증가했다. 반면 설비투자는 1.3%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