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명령 후폭풍] 난민장벽 세우려다 되레 고립되는 트럼프 정권

입력 2017-01-31 08: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세계 각국 정상 비판 한목소리·멕시코 정상회담 취소…미국 16개 주 법무장관 ‘위헌’ 반발

▲미국 뉴욕에서 컬럼비아대 학생들이 30일(현지시간) 트럼프의 반이민정책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뉴욕/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난민 장벽을 세우려다 되레 전 세계에서 고립되는 양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이란과 이라크 시리아 리비아 수단 예멘 소말리아 등 7개 무슬림 국가 국민의 미국 입국과 비자발급을 90일간 중단하고 난민수용을 제한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세계 각국 정상이 트럼프의 폐쇄적 이민정책을 한목소리로 비판하는가 하면 미국 내부에서도 이민자들을 받아들인 개방성과 다양성 등 헌법적 가치를 훼손하는 행동이라며 반발이 커지고 있다고 30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 미국 주요 동맹국 정상이 지난 주말 일제히 트럼프의 반이민정책은 부당한 처사라며 유감을 표시했다.

스테판 자이베르트 독일 정부 대변인은 “메르켈 총리는 테러리즘에 대한 필요하고 단호한 전쟁이 특정 출신과 종교를 싸잡아 의혹하는 것을 정당화하지 않는다고 믿는다”며 “메르켈은 전날 트럼프의 45분간의 전화통화에서 독일의 우려와 유감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캐나다 정부는 트럼프 행정명령으로 발이 묶인 이민자와 난민들에게 임시 거주권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입국금지 대상이 된 이라크와 이란 정부는 보복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한편 트럼프의 국경 장벽 건설 등 보호무역조치의 첫번째 희생양이 된 멕시코는 강경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엔리케 페냐 니에토 멕시코 대통령은 31일로 예정됐던 트럼프와의 정상회담을 전격 취소했다. 미국 제품 불매 운동이나 마약밀매 감시를 위해 파견됐던 미국 사법당국 요원 추방 등 보복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애플과 구글 페이스북 등 실리콘밸리 최고경영자(CEO)들은 지난 주말 트럼프의 반이민정책을 비판하는 성명을 일제히 냈고 스타벅스는 난민 1만명을 채용하겠다고 트럼프에게 맞불을 놓았다.

미국 16개 주 법무장관들은 전날 공동성명에서 “트럼프의 행정명령은 헌법을 위반하는 비미국적이고 불법적인 조치”라고 성토했다. 존 매케인과 린지 그레이엄 등 공화당 중진 상원의원들은 “트럼프가 테러리즘과의 전쟁에 있어서 자해한 것과 마찬가지”라며 “극단주의자들에게 더욱 힘을 실어주고 있다”고 경고했다.

워싱턴 주정부는 이날 트럼프의 행정명령은 불법이라며 트럼프 대통령과 국토안전부를 시애틀 연방지방법원에 제소한다고 발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