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韓기업 행동주의 투자자 공격에 취약…방어책 마련 시급"

입력 2017-01-15 12: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일본·홍콩에 이어 한국 타깃… 포이즌필·차등의결권 등 대책 필요

세계 행동주의 투자자의 공격 타깃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기업에 맞춰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상법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해외투기세력에 대한 빗장이 풀릴 수 있다며 방어책 마련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5일 '행동주의 투자자의 아시아 기업 공격과 대응방안' 보고서에서 "아시아 기업이 행동주의 투자자의 주요 공격 표적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행동주의 투자자의 공격을 당한 기업은 2014년 344개에서 2015년 551개를 기록해 1.6배로 증가했다. 이 중 아시아 기업은 2014년 17개에서 2015년 83개로, 1년 사이에 약 5배로 늘었다.

황재원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행동주의 투자자들은 기본적으로 저평가된 기업을 공격하기 때문에 미국 등에 비해 저평가된 아시아 기업들이 공격 대상이 되기 쉽다"고 말했다.

또 최근 아시아에서 기업들이 행동주의 투자자의 요구를 수용하는 비율이 높아진 점도 공격이 늘어난 이유다. 영국 투자정보업체 '액티비스트 인사이트'에 따르면 2015년 아시아 기업에 대한 헤지펀드의 성공률은 전년 대비 17.1% 증가했는데 이는 미국(3%)과 영국(6.9%)보다 높았다.

황 부연구위원은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 나타나고 있는 정부의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환원 강화 정책 기조, 반재벌 정서와 같은 사회적 분위기가 행동주의 투자자들이 요구조건을 관철시키기에 보다 용이한 환경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경연은 행동주의 투자자들이 우리나라 제도의 특수성을 전략적으로 활용해 공격하고 있는 만큼, 경영권 방어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황 부연구위원은 "엘리엇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과정에서 5%룰 공시 관련 규정이나 감독의 맹점을 활용해 지분을 확보했다"며 "앞서 SK를 대상으로 경영권분쟁을 일으킨 소버린 사태에서도 대주주 지분 3%룰과 같은 한국 제도의 특수성을 활용해 이사회 장악을 시도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헤지펀드의 본산인 미국에서조차 행동주의 투자자의 무차별공격에 대한 비판적 발언과 규제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며 "포이즌 필, 차등의결권 같은 경영권 방어장치를 마련할 때지 지배구조 규제강화를 논의할 때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