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명품, 옆나라 中·日선 가격 ‘팍팍’ 내리고… 한국서는 ‘찔끔’ 생색

입력 2017-01-11 14:4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외국 명품 브랜드들이 중국과 일본 등 주요국에서는 가격을 인하하는 반면 국내에서는 인하폭이 그에 못 미치거나 오히려 인상하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11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버버리코리아는 최근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여파로 파운드화가 폭락하자 이를 수입가에 반영해 의류와 잡화 등 일부 제품의 가격을 평균 9% 인하했다.

가격 조정으로 버버리 패딩은 250만 원에서 240만 원으로, 캐시미어 코트는 370만 원에서 340만 원으로 가격이 낮아졌다.

달러 대비 영국 파운드화의 통화 가치는 국민투표에 의해 브렉시트가 결정된 지난해 6월 이후 연말까지 17% 폭락했다. 원화 대비 환율 역시 지난해 2월 파운드당 1765.90원에서 9일 현재 파운드당 1468.13원으로 17% 하락했다.

수치상으로는 파운드화 통화 가치 절하폭만큼 국내 제품 판매가를 내려야 하지만 기대에 훨씬 못 미친 셈이다.

반면 버버리는 앞서 홍콩에서 파운드화 가치 하락에 따른 환율 변동분을 반영해 주요 제품의 가격을 10~15% 내렸다. 일부 품목의 인하폭은 최대 20%에 달했다. 가격 인하 당시 홍콩 달러화 대비 파운드화 가치가 약 9.75% 떨어졌던 것을 고려하면 통화 가치 하락폭보다 가격 인하폭이 더 컸던 셈이다.

버버리가 중국(홍콩)에서는 발 빠르게 통화가치 하락폭보다 더 큰 폭으로 판매가를 내린 반면 국내에서는 한참 지나서야 찔끔 가격을 내린 것을 두고 한국 시장을 우습게 보기 때문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러한 배짱 영업은 다른 명품들의 행태에서도 볼 수 있다.

샤넬은 지난 1일 국내 백화점과 면세점에서 화장품 가격을 1~5%, 로라메르시에는 2~7% 가격을 인상했고, 에르메스는 지난 6일 가방과 스카프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을 평균 2.6% 올렸다. 루이뷔통도 지난해 말 일부 제품 가격을 평균 7% 인상했다.

반면 일본에서는 지난해 9월부터 카르티에·구찌·보테가베네타 등이 가격을 최대 8% 내렸고, 중국에서는 지난 5일부터 에스티로더 그룹 브랜드인 클리니크·바비브라운·맥·조말론 등이 300개 라인 제품을 최대 18% 인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