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 챙기기ㆍ정상회담 참석 추진 ... 황 대행, 광폭 행보에 ‘대권 의지?’

입력 2017-01-06 11: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새해 들어 민생경제 챙기기에 보폭을 넓히는가 하면, 내달 10일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담 참석도 추진하고 있어 대권 도전 의지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황 권한대행은 최근 대선주자 지지율 4위에 올라 여권의 대선주자로 지목받고 있다.

5일 국무총리실과 관계부처에 따르면 지난 2일 새해 첫 국정현안 관계장관회의에서는 철도·에너지·플랜트 등 해외 인프라 수주를 위한 지원 방안이 중점 논의됐다. 경제외교 주요 협력사업, 10억 달러 이상 사업 등이 최대한 수주로 연결되도록 전방위적으로 돕고 민관 합동 전담기구를 통해 프로젝트별 수주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는 것이 주 내용이다.

이날 황 권한대행은 이 자리에서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에게 “올해 절반은 해외에 있는다”라는 각오로 기업의 해외인프라 수주를 적극 지원하라고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탄핵소추로 박근혜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된 상황에서 국정 공백 메우기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황 권한대행의 그동안의 행보에 비춰볼 때 다소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대해 총리실 관계자는 “해외 인프라 수주 확대는 황 권한대행이 경제살리기 돌파구 마련 차원에서 관심을 가져왔던 사안”이라며 “답답한 국내 경제상황의 활로를 찾고 일자리 창출과 수출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 전체적인 방향을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황 권한대행이 국정 관리에 머무르지 않고 자신만의 목소리를 키우면서 여권의 ‘잠룡’으로서의 행보를 본격화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과잉의전과 인사권 행사로 ‘대통령 행세’를 한다는 야권의 비판 속에 ‘최순실 게이트’로 혼란스러운 국정을 정상화하는 데 매진해야 할 황 권한대행이 당장 가시적인 실적을 내기 위해 해외사업에 눈을 돌리고 있다는 지적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또 길어야 6개월짜리 대책 마련이라는 점은 전형적인 전시행정을 예고하고 있기도 하다.

이와 관련 정부 관계자는 “AI는 매일 회의를 통해 꼼꼼히 점검하고 있다”라면서 “해외 수주는 침체된 우리 경제가 붐업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는 점에서 경제살리기를 위해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