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자동차 모두 빠졌다… 재계 대표 오너가 3세 지분가치 급락

삼성SDS·물산에 발목 잡힌 이재용, 4715억 줄어… 글로비스 덫에 걸린 정의선도 4869억 ‘뚝’

국내 대표 재계 3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의 상장사 지분가치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전자’와 ‘자동차’라는 국내 양대 산업을 이끄는 이들은 대내외적으로 가시밭길 경영 행보를 이어왔으나, 실적 개선 기대감과 지배구조 개편이라는 키워드에서 지분가치 하락이라는 쓴 맛을 봤다.

국내 주식부호 3위인 이 부회장의 상장사 지분가치는 이달 22일 종가 기준 6조8164억 원을 기록, 지난해 마지막 거래일인 12월 30일(7조2881억 원)보다 4715억 원이나 줄어들었다. 정 부회장도 같은 기간 4869억 원의 지분가치가 증발했다.

우선 이 부회장 전체 지분가치 하락은 삼성물산과 삼성SDS 주가 하락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삼성물산(14만 원→13만500원), 삼성SDS(25만4000원→13만7000원) 등 주요 삼성 계열사 주가가 크게 떨어진 영향을 받아, 이 회사에서만 8000억 원 넘게 지분가치가 하락했다.

그러나 삼성전자 지분가치가 상승하면서 여타 계열사 지분가치 하락세를 다소 만회했다. 올 초 120만 원 대에 머물던 삼성전자 주가는 ‘갤럭시노트7’이 출시된 8월 160만 원대까지 급상승했다. 이후 배터리 폭발과 제품 단종이라는 사상 초유의 악재에 잠시 주춤하긴 했지만, 삼성전자 주가는 하방경직선을 유지하며 올 12월에는 180만 원을 돌파하는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이 부회장이 보유한 삼성전자 주식은 84만403주(0.57%)에 불과하지만, 이 주식의 지분가치는 지난해 말보다 4600억 원가량 늘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이 지난해 연말과 비교해 35% 이상 불어난 것은 지배구조 개편 기대감이 주가를 받치고 있기 때문”이라며 “많은 부품사들이 갤럭시노트7의 단종 여파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시장에 가장 큰 충격을 준 삼성전자만 살아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같이 삼성전자 주가가 파죽지세로 상승하는 것은 지주사 전환이라는 지배구조 개편 기대감이 실려 있다. 삼성그룹은 이 부회장의 지배력 확보를 위해 삼성전자를 지주부문과 사업부문으로 인적분할하고 지주부문을 삼성물산과 합병해 지주사체제로 전환하는 시나리오 등을 포함한 대대적인 지배구조 개편을 공식화했다. 또 이 부회장의 삼성전자의 등기이사로 선임되면서 미래먹거리 발굴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정 부회장의 지분가치 하락 폭은 국내 30대 그룹 차세대 리더들 가운데에서 가장 컸다. 실적부진과 노조 파업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세타2엔진ㆍ에어백 결함 등 잇따른 품질 논란 등으로 현대ㆍ기아차에서만 1326억 원의 지분가치가 하락했다. 무엇보다 최대주주로 있는 현대글로비스 지분(23.29%) 가치의 하락폭이 3300억 원에 근접하면서, 경영권 승계 재원 마련에 빨간불이 켜진 것은 가장 큰 악재로 꼽힌다.

현대글로비스는 정 부회장의 승계를 위한 자금줄로 인식돼왔다. 이 때문에 지배구조 개편이나 경영권 승계와 맞물려 기업가치를 올리는 데 힘쓸 수밖에 없다는 기대를 받아왔다. 그러나 정 부회장이 보유한 현대글로비스 지분은 23.3%로 지분가치는 올해 1조3578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조6853억 원 대비 3275억 원 줄어든 규모다. 현대ㆍ기아차의 수출 물량 감소로 된서리를 맞은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