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 빠른’ 아베, 트럼프 취임 직후 정상회담 추진

입력 2016-12-18 19: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내년 1월 27일께 도널드 트럼프 차기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라고 18일(현지시간) 일본 니혼게이자이 신문이 보도했다. 지난달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당선된 직후 뉴욕으로 날아가 비공식회담을 한 것에 이어 세계 정상 중 가장 발 빠르게 트럼프 취임 직후 정상회담 준비에 나선 것이다.

일본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내년 1월 20일 트럼프 당선인이 미국 대통령으로 정식 취임한 직후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미·일 정상회담을 개최할 예정이다. 현재 양국 실무진은 트럼프의 대통령 취임 일주일 후인 내년 1월 27일 전후에 정상회담을 여는 방안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아베 총리는 트럼프 당선인이 대통령 공식 취임 후 만나는 첫 해외 정상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아베 총리는 지난달 17일 미국 뉴욕 트럼프타워에서 외국 정상으로는 처음으로 트럼프 당선인과 만나 약 90분간 비공식 회담을 했다. 이 자리에서 아베 총리는 조기 정상회담 개최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아베 총리가 트럼프 차기 대통령과의 관계 형성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유는 오랜 기간 탄탄하게 유지됐던 미·일 동맹이 트럼프 당선 이후 불확실성에 휩싸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당선인은 선거 기간 중 주일미군 주둔 비용에 대한 일본 부담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또한 아베노믹스의 성장 전략의 핵심 정책이었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폐기를 공언해왔다.

아베 총리는 트럼프 차기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기존의 미-일 안보 동맹 유지를 촉구하는 동시에 태평양의 평화를 둘러싼 많은 논란과 관련해 자신의 견해를 트럼프 당선인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TPP 폐기와 주일미군 주둔비용 증액 등 일본에 불리한 정책을 재고해줄 것을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국의 해양 팽창과 북핵·미사일 문제의 대응 방안도 협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아베 총리가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한편, 트럼프 당선인과의 개인적인 유대도 강화하길 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정상회담 결과가 아베 총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도출될지는 미지수다. 트럼프 당선자는 지난달 아베 총리와 비공식 회담을 한 직후 ‘TPP 폐기’를 공식 선언한 바 있다.

한편 아베 총리는 오는 26~27일 미국 하와이를 방문, 겨울휴가 중인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만나 정상회담을 갖는다. 또한 현직 일본 총리로는 처음으로 태평양전쟁의 시발점이 된 진주만을 방문해 참배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