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美 수중드론 반환 합의했지만…트럼프 “반환 필요없다”

입력 2016-12-18 15: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트럼프 날 선 반응 이어가…미·중 향후 갈등 고조될 듯

미국과 중국의 날 선 신경전이 외교를 넘어 남중국해 군사 문제까지 확산하는 모양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정식 취임을 한 달여 앞두고 양국의 신경전이 앞으로 본격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7일(현지시간) 중국이 필리핀 인근 해역에서 나포한 미 해군의 무인 수중드론을 미국에 반환하기로 합의했다. 사건 발생 이틀 만에 극적인 반환 합의가 나오면서 남중국해를 둘러싸고 고조됐던 미국과 중국의 마찰은 일단락 됐다. 피터 쿡 미국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성명에서 “중국 당국과의 직접 접촉을 통해 무인 수중드론(UUV)의 미국 반환에 대한 이해를 얻어냈다”고 밝혔다.

쿡 대변인의 성명에 앞서 같은 날 중국 국방부는 성명에서 “중국이 적당한 방식으로 미국에 드론을 반환키로 결정했으며 이를 위해 미국측 과 계속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다. 남중국해가 자국 영해라고 주장하는 중국은 수중드론 나포가 정당한 행위라고 주장한다.

앞서 지난 15일 오후 필리핀 수빅 만에서 북서쪽으로 50해리 떨어진 해상에서 미군 해군함정 보우디치(Bowditch)함이 드론 회수 작업을 하던 중 이를 따라오던 중국 해군 함정에서 내린 소형 보트가 수중드론 2대 중 1대를 나포했다. 미국 정부는 나포된 드론이 과학 연구용이라는 입장이지만 중국은 물론 미국의 민간 전문가들도 이 드론이 남중국해의 중국 잠수함을 정찰하기 위한 첩보수집용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이날 반환 합의 성명이 나왔지만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에 대한 날 선 반응을 이어갔다. 트럼프 당선인은 자신의 트위터에 “우리는 중국에 그들이 훔친 드론을 돌려받기 원하지 않는다고 말해야 한다”며 “그들이 갖도록 놔두라”고 썼다. 트럼프는 국방부의 반한 합의 발표 전에는 “중국이 공해상에서 미 해군의 연구드론을 훔쳤다. 전례 없는 행동으로 연구드 론을 물에서 낚아채 중국으로 가져갔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이번 일을 두고 일각에서는 중국이 차이잉원 대만 총통과의 전화통화를 통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저버린 트럼프 당선인에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은 1979년 중국과 수교하면서 중국의 ‘하나의 중국’이라는 정책을 받아들이고 대만과 정상 간 전화 통화를 일절 하지 않았다. 양국 정상이 통화하면 이는 대만을 중국 일부가 아닌 하나의 국가로 간주하는 의미가 되기 때문이다.

트럼프의 전화 통화 이후 백악관이 서둘러 ‘하나의 중국’ 정책에는 변화가 없다고 중국 달래기에 나섰지만, 중국은 큰 불쾌감을 드러냈다. 중국이 필리핀 인근 해역에서 미국의 드론을 나포한 것은 최근 친중 행보를 보이는 필리핀과 미국의 동맹관계를 더 약화시키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분석도 나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