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인물사전] 12. 이매창

입력 2016-12-18 09: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허균과 평생의 우정을 나눈 기녀

조선시대에 모든 남성이 공유할 수 있는 성(性)이 있었으니 바로 기녀였다. 이매창(1573~1610)은 전라도 부안에서 아전 이탕종의 딸로 태어났다. 계유년에 태어나 계랑이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매창이 기생이 된 이유는 자세히 기록돼 있지 않으나 어머니가 기생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매창은 어릴 때 아버지에게 글을 배워 시(詩)와 문장을 잘 지었다. 거문고도 잘 타고 노래도 잘 불렀다. 기녀이지만 몸가짐이 곧아서 손님들이 희롱하려 하면 곧잘 시를 지어 물리쳤다.

취한 손님이 명주저고리 옷자락을 잡으니

명주저고리가 손길을 따라 찢어졌네!

명주저고리 하나쯤이야 아까울 게 없지만

임이 주신 은정까지도 찢어졌을까 두렵네.

매창이 청춘을 바쳐 사랑한 사람은 유희경이었다. 매창이 유희경을 만났을 때 나이는 스물도 채 안 되었지만 유희경(1545~1636)은 마흔 중반이었다. 유희경은 천인 출신의 시인으로 서울에서 높은 명성을 구가했다. 하지만 두 사람 관계는 지속되지 못하고 15년이 훌쩍 지나 전주에서 한 번 해후했을 뿐이다.

매창에게 유희경이 연인이었다면 친구로 허균(1569~1618)이 있었다. 허균은 1601년 7월에 부안 객사에 묵게 되었는데, 그때 거문고를 들고 와서 시를 읊는 매창을 처음 만났다. 매창이 스물아홉 때이다. 허균은 매창에 대해 아름답지는 않으나 함께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사람이라고 평했다. 그리고 오랜 기간 지우로 지냈다. 허균은 1609년 매창에게 보낸 편지에서 “우리가 처음 만난 당시에 만약 조금이라도 다른 생각이 있었더라면 나와 그대의 사귐이 어찌 십 년 동안이나 이어질 수 있었겠소”라고 하였다.

매창을 시 못지않게 유명하게 만든 것은 기녀 같지 않은 단아한 행실이었다. 허균은 매창에 대해 “성품이 고결해서 기생이지만 음란한 짓을 즐기지 않았다. 내가 그 재주를 사랑해 거리낌 없이 사귀었다. 비록 우스갯소리를 즐기긴 했으나 어지러운 지경에 이르지 않았다. 그래서 우리 관계가 오래되어도 시들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매창은 서른여덟에 요절했는데 죽은 뒤 13년이 지나 시집 ‘매창집’이 출판되었다. 시집 발문에는 “수백 편의 시가 있어 한때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더니 지금은 거의 흩어져 없어졌다. 1668년 10월에 아전들이 외우며 전하던 여러 형태의 시 58수를 얻어 개암사에서 목판에 새긴다”고 기록돼 있다. 이런 측면에서 매창은 기녀로서 분명 특수한 지점에 위치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