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크스바겐 사태로 디젤차 누명… 향후 30년 에너지 변환기술 중추 역할”

입력 2016-11-24 17: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수입자동차협회가 24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연 ‘오토모티브 포럼’에 서 패널들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사진제공=한국수입차협회)

“폴크스바겐 사태로 디젤 엔진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가 급격히 추락하고 있다. 디젤에 대한 감정적 대응·규제를 자제해야 한다.”

배충식 카이스트 교수는 한국수입자동차협회가 24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연 ‘오토모티브 포럼’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디젤 자동차의 미래’를 주제로 진행된 이번 포럼에서 이날 행사는 국내외 업계·학계 관계자들은 디젤 자동차의 현황을 짚어보고, 디젤차의 미래와 발전 방향에 대해 아이디어를 공유했다.

발표자로 나선 배 교수는 “폴크스바겐 사태로 친환경 디젤엔진 기술에 대한 왜곡된 시각이 형성됐다”며 “유한한 화석에너지를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젤엔진이 사장돼야 하는 기술로 오도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제에너지기구(IEA) 에너지기술전망 보고서를 토대로 “디젤 엔진은 향후 30년 이상 에너지 변환기술의 중추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경유차 저공해차 인증 기준을 강화한 시행규칙을 내달 1일부터 시행키로 한 것에 대해선 “디젤에 대해 감정적 대응과 규제를 하는 느낌이 든다”며 “에너지 안보·경제성·친환경성·기술성 네 가지 측면에서 비춰볼 때 이건 국가 경제 차원에서 거의 자해하는 수준으로 매우 잘못됐다”고 말했다.

전광민 연세대 교수 역시 “폴크스바겐 사태가 생기면서 전체 디젤 자동차가 ‘오염을 많이 내뿜는 엔진’이라는 누명을 썼다”며 “사실에 입각한 정보가 전파돼야 하고 모든 정책은 그에 기반해 공평하게 이뤄져야 하는데 1년 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패트리스 마레즈 PSA 그룹 부사장은 ‘효율적인 디젤을 위한 기술’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자동차 업계는 새로운 도전들에 대처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디젤은 여전히 미래 이산화탄소 규제 목표를 충족하기 위한 주요 방안”이라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