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투협, CD 고시 증권사에 "시장금리 반영” 요청..빚부담 커질 듯

입력 2016-11-24 10:24수정 2016-11-24 14: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융투자협회가 양도성예금증서(CD) 91일물 금리를 고시하는 증권사들에게 시장금리를 반영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CD금리가 가파르게 오를 조짐이다. CD는 코픽스(COFIX) 금리와 함께 가계대출 금리의 기준금리라는 점에서 가계대출자들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투자협회)

23일 금투협 고시에 따르면 CD 91일물 금리는 전일대비 1bp(1bp=0.01%포인트) 오른 1.43%를 기록했다. 지난 17일 1bp 오른 1.40%를 보인 이래 5거래일간 4bp가 오른 것이다. 특히 이날은 한국은행의 통화안정증권(통안채) 91일물 발행이나 시중은행의 CD 3개월물 발행, 또는 눈에 띠는 유통물량이 없었음에도 CD 91일물 금리가 올랐다.

이같은 상승에도 불구하고 CD 금리 오름세는 더딘 편이다. 미국 대통령선거 결과 발표가 있던 지난 9일 이후 23일까지 만기가 비슷한 은행채 AAA등급 3개월물 금리는 무려 18.8bp나 올라 1.576%를 기록했고, 통안채 91일물 금리도 11.6bp 상승한 1.468%를 보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CD금리와 은행채 금리간 금리차도 14.6bp를 기록하며 2월17일 15bp 이후 9개월만에 가장 큰 폭을 보였다.

채권시장에서는 금투협발 소문이 영향을 미쳤다는 반응이다. 복수의 증권사 관계자들은 “시장금리와 차이가 컸다. 단기금리가 상승한데다 (금투협 요청 소식에) 시장에서도 이슈가 되다보니 고시하는 증권사들도 뒤늦게 반영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CD금리 정상화를 추진했던 그간의 행태와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012년 CD금리 담합 의혹이 불거진 후 공정거래위원회의가 무려 4년이나 조사에 나선 바 있고, 한은도 지난 2014년 CD금리 왜곡 현상에 제동을 거는 등 CD금리 정상화를 추진했었다.

다만 금투협은 CD 금리 정상화에 노력한다면서도 신중한 입장이다. 한 금투협 관계자는 “CD나 기업어음(CP) 금리를 시장에 맞게 변동해야 한다는 의견이지만 100% 동의하기 어려운 점도 있다. 그만큼 시장 유동성이 풍부하지 않기 때문”이라며 “서로 다른 의견을 감안해 업계 생각도 확인해야 하고 규정, 시스템 변경 절차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CD 91일물 금리는 10개 CD 고시회사가 적정금리를 금투협에 제출하면, 금투협은 최고 및 최저 금리를 제외한 8개사의 금리를 평균해 결정한다. 평일 오전 11시30분과 오후 3시30분을 기준으로 두 번에 걸쳐 고시하고 있다. 올 상반기 CD금리 고시 회사는 NH투자증권 등 10개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