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AI 전국으로 확산 ... 정부 위기단계 ‘경계’로 격상

입력 2016-11-23 1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해남ㆍ음성ㆍ무안ㆍ청주 이어 경기 양주, 전북 김제, 포천 의심축 신고

▲고병원성 AI 발생 및 의심축 확인 현황(농림축산식품부)

정부가 조류인플루엔자(AI) 위기 단계를 ‘주의’에서 ‘경계’ 단계로 격상했다. 이에 전국 시‧도‧군이 방역대책본부 운영에 들어간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전날 경기 포천 소재 산란계 농장(22만9000수)에서 고병원성 AI 의심축이 신고됐다고 23일 밝혔다. 고병원성 여부는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정밀검사 결과에 따라 25일경 판정될 예정이다.

농림부는 경기 포천에서 AI 의심축이 신고됨에 따라 정부의 위기관리 매뉴얼에 따른 가축방역심의회 서면 심의를 받아 이날부터 위기 단계를 기존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했다. 경계 단계로 격상되면 전국 모든 시‧도‧군에 방역대책본부 및 상황실이 설치 운영된다. 농림부는 18일부터 AI 방역대책본부를 설치해 운영 중이다.

농림부에 따르면 이날까지 전남 해남(산란계), 충북 음성(오리), 전남 무안(오리), 충북 청주(오리) 지역 4개 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진됐다. 경기 양주, 전북 김제, 포천은 의심축 신고 건에 대한 정밀검사를 하고 있다.

최초 의심축 신고일인 16일 이후 1주일 만에 의심축이 계속 신고되면서 서해안 지역의 확산 조짐과 전국적인 추가 발생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농림부는 전했다. 이번 고병원성 AI(H5N6)는 국내 새로운 유형으로 과거 발생했던 유형(H5N8)에 비해 병원성이 더 높은 것으로 추정했다.

이에 농림부는 위성위치확인장치(GPS) 차량정보를 활용해 발생경로를 추적하고, 국가방역통합정보시스템(KAHIS)을 KT의 빅데이터 분석과 연계해 예측된 위험지역에 홍보해 방역을 강화할 계획이다. 전통시장, 계류장, 가든형 식당 등 방역 취약지역의 매월 소독 등 방역수칙 준수여부와 72개 가금류 계열화사업자의 소속 농가, 도축장 등에 대한 방역실태도 점검한다.

또 기존 AI 발생농가, 전통시장, 도축장 등을 관리하는 KAH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AI 위험요인이 있는 축산시설의 사후관리와 바이러스 유입 방지를 추진한다. 24일에는 가축방역심의회를 개최해 방역 상황을 점검하고 일시이동중지 추가 발령과 계열업체 방역관리 및 철새관련 방역대책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농림부 관계자는 “겨울철새가 국내로 계속 들어오고 있어 이로 인한 농가 전파 위험성이 여전히 높은 실정”이라며 “겨울철에 접어들어 소독효과가 낮아지고 있다. 발생지역 확대에 따라 차량·사람 등을 통한 타 지역으로의 확산이 우려된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