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불똥 튄 K-컬처밸리…착공 앞두고 후속 투자 불투명

입력 2016-11-21 07: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K-컬처밸리 조감도.

'최순실 게이트'의 파장이 확대되면서 CJ그룹의 K-컬처밸리 사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 '외부 자금조달'이 미뤄지면서 향후 공정에 차질이 빚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CJ그룹이 추진 중인 K-컬처벨리 사업의 추가 투자가 답보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7000억 원 이상의 추가 자금 조달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투자자들이 결정을 미루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K-컬처밸리는 경기도 고양시 약 30만㎡(9만1000여 평), 축구장 46개 크기의 면적에 '한류'를 주제로 한 복합 문화공간이다. 약 1조4000억 원이 투입해 10년간 생산유발 13조 원, 일자리 9만 개 창출의 투자 효과가 기대했던 대규모 개발 사업이다. 그러나 내년 초 착공을 앞두고 투자자들이 최종 투자결정을 미루면서 외부 자금 조달이 답보 상태에 놓여있다.

CJ그룹은 K-컬처밸리의 사업시행자인 '케이밸리'를 지난해 12월 설립했다. 자본금은 CJ E&M 출자금 450억 원과 싱가포르 투자사인 방사완브라더스 투자금 50억 원 등 830억 원 규모다. 향후 2000억 원 규모로 확대될 예정이다.

K-컬처밸리는 현 정권의 문화융성 정책을 대표하는 문화창조융합벨트의 핵심 프로젝트로 꼽혀왔다. 그러나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에 깊숙이 참여한 차은택 전 창조경제추진단장의 개입설이 나돌았다. 차은택 전 단장이 CJ측에 K-컬처밸리 주요 요직을 요구했다는 의혹이 불거지기도 했다.

K-컬처밸리에는 현재 토지구매비, 임대, 공사, 설계 운영비 등 약 600억 원 이상 투입된 상태다. 후속 투자금이 조달되지 않아 CJ그룹은 최근 사업 중단 여부 등을 놓고 논의에 착수했다. 그 결과 사업을 지속하기로 가닥을 잡았지만 후속 투자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앞서 경기도의회의 'K-컬처밸리 특혜의혹 행정사무조사 특위'는 박용수(더불어민주당·파주2) 위원장 등 6명의 위원이 오는 24일 싱가포르를 방문해 투자사인 '방사완브라더스'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인다고 밝혔다.

방사완브라더스는 CJ E&M의 자회사로 K-컬처밸리 사업시행자인 케이밸리 자본금의 10%(50억 원)를 투자했다. 방사완브라더스의 투자에 따라 케이밸리는 외국인투자기업으로 등록, K-컬처밸리 테마파크 부지를 공시지가의 1%(연 8억3000만 원)에 빌릴 수 있게 됐다.

특위 관계자는 "케이밸리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방사완브라더스가 작년 6월 19일 설립됐고 5건에 50만∼120만 싱가포르달러 규모의 자금 조달과 단기 대출 및 주선 실적밖에 없다"며 "케이밸리가 CJ E&M이 급조한 외투기업이라는 의혹이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