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미세먼지' 감축 본격 착수…2023년까지 최대 50% 감축

입력 2016-11-13 14: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3년내 예보 정확도 63%→75%, 예보 기간도 2일→7일로 향상

(자료=미래창조과학부)

정부가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적극 나선다고 밝혔다. 향후 3년 동안 423억 원을 투자해 2023년까지 사업장 발생 초미세먼지를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환경부·보건복지부는 전문가 논의와 공청회 등을 거쳐 이러한 내용의 '과학기술 기반 미세먼지 대응 전략'을 확정, 13일 발표했다.

먼저 미세먼지 연구개발(R&D)을 체계적으로 전담하는 범부처 사업단을 발족한다. 정부 곳곳에서 들쭉날쭉 이뤄졌던 미세먼지 연구가 통합되면서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미세먼지 감축 전략은 지난 8월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중 하나로 지정됐다. 이날 밝힌 대응전략은 이에 따른 세부 이행계획인 셈이다.

미래부와 복지부, 환경부는 범부처 단일사업단(이하 사업단)을 꾸린다. 인공지능 기반의 미세먼지 예보와 고효율 집진·저감 등을 목표로 하는 R&D에 내년부터 정부 안 기준으로 3년간 423억원을 투입한다.

사업단은 먼저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기반 기술부터 강화한다. 지금껏 국내에서는 화력발전소 등에서 나오는 미세먼지를 1차 측정하는 기술에 주로 투자했다. 화학반응을 통해 발생하는 '2차 생성' 미세먼지나 광역먼지 등을 분석하지는 못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질소산화물 등이 수증기·암모니아와 만나 미세먼지를 만드는 2차 생성 현상을 규명키로 했다. 특정 지역의 미세먼지가 어떻게 이동해 오염을 확대하는지를 측정하는 등의 R&D도 강화한다.

둘째, 빅데이터·인공지능 등 첨단 정보기술(IT)을 사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 예보를 고도화하는 연구도 진행한다. 현재 정확도가 62%였던 미세먼지 고농도 예보를 2020년에는 75%까지 올리겠다는 계획이다. 예보 기간 역시 현행 2일에서 2023년에는 7일로 늘리는 것이 목표다.

셋째, 미세먼지 방지에도 공격적 투자가 이뤄진다. 화력발전소·제철소가 쓰는 미세먼지 방지 장치의 효율을 갑절 이상으로 늘린다. 도로와 지하철·건설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흩뿌려지는 먼지)를 막는 R&D 사업도 시작한다.

정부는 이번 전략을 통해 사업장의 초미세 먼지 배출량을 현행의 절반으로 줄이고, 미세먼지 기술과 관련된 국내 시장을 기존 6조2000억 원에서 2023년에는 17조 원 수준으로 3배 가까이 키울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번 대응전략으로 2014년 기준 연간 170만t이 쏟아져 나왔던 초미세먼지의 경우 2023년이면 85만t 규모로 축소될 전망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투자 순위에서 밀리거나 '부처별 칸막이'에 막혀 연구가 부진했던 미세먼지 분야를 집중적으로 키우자는 것이 이번 전략의 취지"라며 "중국 현장 실증을 강화하는 등 국제 R&D 협력을 늘리고 국민이 R&D의 혜택을 실생활에서 느낄 수 있도록 생활밀착형 기술 개발에 힘을 쏟겠다"고 설명했다.

(자료=미래창조과학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