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수사' 검찰, 기업 총수 수사 가능성 검토…전담팀 구성 (종합)

입력 2016-11-07 17: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비선 실세' 최순실(60) 씨의 기업 강제모금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재단 출연금을 낸 대기업 조사를 위해 전담팀을 꾸리고 전수조사에 나섰다. 검찰은 기업 총수 등 의사 결정권자를 불러 대면 조사를 하는 가능성도 검토 중이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부부장검사 한 명과 평검사 2명으로 기업 조사 업무를 전담할 팀을 내부에 구성하고 출연금 조성 경위와 내역을 파악중이라고 7일 밝혔다.

◇특수부 검사 3명 기업 수사 전담…총수 소환 가능성도

전담팀이 꾸려진 것은 지난 4일 전국 12개 일선 청에서 추가 인력을 파견받은 직후다. 검찰 관계자는 "기업 수사가 확대될 것 같아 인력을 투입했다"고 설명했다. 파견 검사 6명 중 절반을 투입할 만큼 이번 사건에서 기업 수사에 비중을 두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수사 경과에 따라 투입되는 검사 수는 늘어날 수도 있다.

특히 검찰 관계자는 대기업 총수들이 조사를 받을 가능성에 대해 "여러 가지 제기되는 의혹 중 관련된 부분 아니냐, 필요하다면 수사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7월 24일 청와대로 대기업 총수 17명을 불러 간담회를 열고 "한류를 확산하는 취지에서 대기업들이 재단을 만들어 지원했으면 좋겠다"는 취지의 주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박 대통령이 간담회 당일과 다음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김창근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 7명의 총수를 비공개 면담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호성 휴대전화, 안종범 다이어리 분석

대통령이 직접 재벌 총수를 만나 재단 출연금을 내도록 한 사실이 확인된다면 자금 성격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기업인들에 대한 형사처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검찰은 정호성(47)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의 주거지를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휴대전화 2대를 확보하고 내용물을 분석 중이다.

여기에는 박 대통령과의 통화 내용이 담긴 녹음 파일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검찰 관계자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 유의미한 내용은 별로 없다, 대화의 취지는 박 대통령이 업무를 지시하면 '네 알겠습니다' 답하는 식"이라고 말했다. 검찰이 이날 안종범(57) 전 수석 측으로부터 제출받기로 한 다이어리도 중요 증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이 다이어리에 박 대통령과 기업 총수 간 면담 경위와 내용이 상당 부분 적혀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이날 전경련 임원 2명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롯데 SK그룹, 삼성그룹 임직원도 검찰에 출석해 출연금을 내게 된 경위에 대해 조사받았다. 특히 삼성은 최 씨 모녀에게 별도의 자금 35억여 원을 지급한 사실이 확인돼 이 자금의 성격과 용처에 대해서도 조사가 이뤄질 예정이다.

사실상 최 씨가 지배한 것으로 알려진 두 재단이 공시한 출연금 내역에 따르면 미르는 30개사에서 총 486억 원을, K스포츠는 49개사에서 288억 원을 받았다. 두 재단에 10억 원 이상을 출연한 기업은 △삼성 204억 원 △SK 111억 원 △현대차 82억 원 △LG 78억 원 △포스코 49억 원 △롯데 45억 원 △GS 42억 원 △한화 25억 원 △KT 18억 원 △LS 16억 원 △CJ 13억 원 △두산 11억 원 △대한항공 10억 원 순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