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국내각? 책임총리제?…손학규·김종인·정운찬 총리후보 거론

입력 2016-10-30 20:36수정 2016-10-30 2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순실 국정개입 파문과 관련해 야당에 이어 여당인 새누리당마저 ‘거국내각’ 구성을 요구하면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새누리당은 30일 여의도 당사에서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국정 공백 사태 해소 방안으로 가국내각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촉구하기로 결정했다.

김성원 대변인은 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여야가 동의하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거국내각 구성을 강력히 촉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거국내각은 여야 합의로 총리 후보를 추천하면 대통령이 이를 임명하고, 총리가 여야를 아울러 내각을 구성해 국정을 운영하는 방식이다. 거국내각이 이뤄지면 대통령은 사실상 국정 2선으로 물러나게 된다.

새누리당은 외교·안보 분야는 박 대통령이 임기 끝까지 책임을 지고, 총리가 내치를 담당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반면 야당은 박 대통령이 모든 것을 내려놓고 외교권까지 총리가 담당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최근 정계복귀를 선언한 손학규 동아시아미래재단 상임고문과 김종인 더민주 전 비상대책위회 대표가 새 총리 적임자로 거론하고 있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거국내각의 총리로 김종인 전 대표를 언급했다. 그는 “정파를 넘어서는 협치의 리더십 즉, 협치형 총리가 필요하다”면서 “여야를 아우르는 협치로 국가적 위기를 돌파해야 하고 경제위기를 넘어설 전문성에 경륜과 결단력도 갖춰야 한다. 김 전 대표가 적임자”라고 밝혔다.

한 때 새누리당 지도부가 청와대에 이 두 사람을 거국중립내각의 총리 후보로 추천했다는 이야기도 있었으나, 한 참석자는 “두 사람의 이름이 거론된 건 사실이지만, 실제 추천을 결정하거나 한 적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회의에서는 손학규 상임고문과 김종은 전 대표 외에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장과 정운찬 전 총리 등의 이름도 언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 안팎에선 거국내각을 실행할 경우 박 대통령이 남은 1년4개월여 임기 동안 국정은 안정적으로 끌어갈 수 없다는 점을 들어 거국내각에 준하는 ‘책임총리제’가 적합하다는 의견도 내놓고 있어 주목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