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부처 고위관료 절반, 강남 부동산 보유

입력 2016-10-23 13:2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기재부ㆍ국토부ㆍ금융위ㆍ국세청 1급 이상 조사 결과

부동산 정책에 관여하는 정부부처의 1급 이상 고위관료 2명 중 1명은 부동산 열풍의 진원지로 꼽히는 강남 3구에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정부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국세청, 국토교통부 1급 이상 고위관료는 모두 30명(금융위 1명 제외)으로, 이중 절반인 15명(50.0%)이 서울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 등 강남 3구에 부동산을 보유 중이었다.

구체적으로 서초구에 이들 고위관료 4명 중 1명꼴인 8명(26.7%)이 부동산을 갖고 있었고, 강남구 5명(16.7%), 송파구 2명 (6.7%) 등이었다. 이들이 보유한 강남 지역 부동산은 모두 22건으로 1인당 보유건수는 약 1.5건으로 집계됐다.

강남 부동산 보유 고위관료의 비율은 금융위(1급 6명 중 상임위원 1명 제외)와 국세청이 각각 5명 중 3명으로 60%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9명 중 5명(55.6%)이었고 기재부가 11명 중 4명(36.3%)으로 가장 낮았다.

기재부는 그러나 나머지 7명 중 2명이 강남 3구에 버금가는 서울 용산에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고위관료 2명 역시 과거 ‘버블세븐’ 지역이었던 경기도 분당과 과천에 아파트 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경제부처 고위관료들이 보유한 강남 지역 부동산 가액은 평균 10억 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앞서 지난 3월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발표한 공직자 재산공개내역을 보면 기재부와 국토부, 금융위, 국세청 등 4개 기관의 1급 이상 공무원 29명 중 69%인 20명이 강남 3구에 아파트 등 부동산을 보유했으며 평균 가액(토지 제외)은 11억3807만 원에 달했다.

주거 목적으로 강남 지역의 부동산을 보유하는 것 자체를 문제삼기는 어렵지만, 자신의 이해관계에서 온전히 벗어나 공정한 정책 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 당시에서도 고위 공직자들의 부동산 투기 의혹이 일자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부동산 백지 신탁 제도 도입 필요성이 주장되기도 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 역시 대선 후보 선거 캠프를 꾸렸을 때 일정 직급 이상 공무원이 불필요한 부동산을 갖고 있으면 신탁에 맡겨 매매하는 방식의 부동산 백지신탁을 내부적으로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