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노트7 단종 후 반도체 등 부품가격 단기 상승 전망

입력 2016-10-17 10: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단종 사태 이후 D램과 낸드플래시, AMOLED 디스플레이 등 스마트폰 부품 가격이 일시적인으로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TrendForce)는 17일 갤럭시노트7의 시장 공백으로 생긴 추가 수요를 차지하기 위해 주요 스마트폰 업체들이 일제히 제품 생산 확대에 나서게 되면 주요 부품이 일시적인 공급 부족 현상을 겪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이 기관은 삼성의 올해 스마트폰 출하량이 3억1600만 대에서 3억1000만 대로 줄어드는 반면 애플은 2억500만 대에서 2억800만 대, 화웨이는 1억1900만 대에서 1억2300만 대, 오포(OPPO)와 비보(VIVO)는 1억4400만 대에서 1억4700만 대로 각각 출하량을 늘릴 것으로 예상했다.

갤럭시노트7 단종으로 줄어드는 1000만~1200만 대를 애플, 화웨이, 오포ㆍ비보 등이 나눠서 점유하게 된다는 전망이다. 물론 전체 출하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다지 크지 않다. 그러나 삼성 경쟁업체들의 출하량 증가는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메모리 반도체(모바일 D램, 낸드플래시)와 디스플레이 수요를 일정 부분 자극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주로 적용하는 AMOLED 디스플레이의 경우, 삼성의 갤럭시노트7 생산 중단으로 전체 수요가 줄어들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오포, 비보 등 중국 스마트폰 업계의 신흥강자들이 LCD 패널에서 속속 AMOLED 패널로 전환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애플도 아이폰8부터 LCD 패널인 레티나 디스플레이를 아몰레드 패널로 대체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트렌드포스는 아울러 삼성전자도 갤럭시노트7 단종으로 생긴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갤럭시S7ㆍS7 엣지 등 기존 프리미엄 라인과 갤럭시AㆍJ시리즈 등 중저가 라인 제품의 생산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7 블루코랄을 출시해 아이폰7 공세에 대응할 계획이다. 트렌드포스는 또 삼성전자가 시장 상황에 따라 메모리 제품과 디스플레이 패널 단가를 올릴 여지도 있다고 관측했다.

삼성전자는 모바일 D램 점유율 61%, D램 점유율 47%, 낸드플래시 점유율 36%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