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출신 애널리스트, 분식회계 폭로 이후에도 허위 분석”

새누리당 김종석 의원은 13일 대우조선해양 출신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이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 사실 폭로 직후에도 허위 분석보고서를 통해 시장을 왜곡시켜 일반투자자에게 피해를 입혔다고 주장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 의원은 이날 “지난 7월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국내 주요 33곳 증권사의 조선업종 담당 애널리스트는 총 17명이고 이중 조선사 경력을 가진 현직 애널리스트 6명중 5명이 대우조선해양 출신”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조선업종 담당 애널리스트 중 대우조선해양 출신이 30%, 조선사 경력을 가진 애널리스트로 한정할 경우에는 83%로 매우 높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분식회계 사실이 폭로된 날인 작년 7월 15일에 주식거래 종가는 하한가를 기록했고, 향후 큰 폭의 주가하락이 불가피할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자료=새누리당 김종석 의원실 제공)

하지만 ‘D사’는 폭로일 이틀 후인 17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여전히 분석 목표가를 9500원으로 높게 잡고 ‘보유’ 의견을 제시했다. 김 의원은 “당시 보고서 발표 날 종가는 7980원으로 폭로일 이후로 계속 주가는 하락 중이었고 보고서 발표 다음날 거래종가는 7450원으로 전일 대비 –6.51% 하락 했었다”고 지적했다. 또 K사 역시 지난해 7월 30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분석 목표가를 9000으로 높게 잡았고 ‘보유’ 의견을 제시했다.

현재 대우해양조선의 주식거래는 매매거래중지 상태며, 마지막 매매거래가 가능했던 지난 7월 14일 거래종가는 4480원을 기록했다. 김 의원은 “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 매각을 위해 대우조선해양 출신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을 주가 부풀리기에 이용했었다는 조선업계 및 증권가의 소문이 사실이라고 뒷받침될 조사”라고 질타했다.

(자료=새누리당 김종석 의원실 제공)

김 의원은 “기업 가치를 평가·분석해야 할 애널리스트들이 해당 기업으로부터 압력을 받거나 또는 분식회계 등 기업 손실을 알면서도 허위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은 해당 기업은 물론 애널리스트들의 도덕적 해이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이로 인한 모든 손실은 투자자의 몫”이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