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한화 만든다” 김승연 회장… 승진 시 안식월 도입, 조직문화 '대 혁신'

입력 2016-10-10 13:05수정 2016-10-10 13:2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유연근무제, 잡 마켓, 비즈니스캐주얼, 팀장 정시퇴근제… 전격 시행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사진제공=한화그룹 )

창립 64주년을 맞은 한화그룹이 파격적인 조직문화 혁신을 통해 ‘젊은 한화’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10일 창립기념사를 통해 “사업 규모가 커지고 시장 지위가 높아질수록 임직원들의 의식수준 또한 일류가 돼야 한다”며 “한화의 지난 64년이 과감하고 혁신적인 결단의 연속이었던 것처럼 기업 연륜을 쌓아가는 이 순간에도 창업시대의 초심으로 돌아가 우리 안에 있는 ‘젊은 한화’를 깨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조직의 노화를 부추기는 관료주의, 적당주의, 무사안일주의를 배척하고, 세월을 거슬러 영원한 청춘기업으로 살아가는 것이 앞으로의 한화가 꿈꾸고 만들어갈 모습”이라며 젊은 생각으로 뭉칠 것을 강조했다.

김 회장은 “마음자세를 바꾸면 삶을 바꿀 수 있고 그렇게 바뀐 삶은 종종 기적이라 표현된다”며 “이번 한화인들의 ‘젊은 생각’도 새 역사를 꽃피워갈 씨앗이 될 것이며, 기적 같은 미래로 이끌 것이다”라고 모든 임직원이 새로운 한화를 만들어 나가는 길에 동참할 것을 부탁했다.

한화는 ‘젊은 한화’로의 변화를 위해 과장, 차장, 부장 직급 승진 시마다 1개월의 안식월을 부여하는 등 파격적인 조직문화혁신에 나섰다.

1개월 간의 안식월 제도도입은 승진을 통해 자신을 다시 한 번 돌아보며 새롭게 부여된 직책에 대한 각오와 계획 등을 차분히 설계하고, 재충전을 통해 만들어진 에너지를 회사와 개인의 발전을 위해 사용할 수 있게끔 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그룹 측은 설명했다.

한화그룹은 안식월 도입외에도 △업무상황에 따라 출퇴근시간을 자율적으로 관리하는 ‘유연근무제’ △직원 개인의 자발적이고 계획적인 경력관리 지원을 위한 ‘잡 마켓(Job Market)’ △업무성격에 맞는 자율복장근무인 ‘비즈니스캐주얼’ △정시 퇴근 문화로 저녁이 있는 삶 정착과 팀업무 효율을 올리는 ‘팀장 정시 퇴근제도’ 등을 함께 도입했다.

새롭게 도입한 조직문화 혁신 방안은 9일 창립기념일부터 전 계열사가 각 계열사의 상황과 사업특성에 적합한 형태로 시행한다.

한화그룹의 변신에는 최근 몇 년 동안 태양광 및 방산, 석유화학 기업의 인수ㆍ합병(M&A)를 통한 규모확장 등 사업규모 확대와 시장의 위치와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동반하는 기업문화와 임직원들의 의식수준 또한 일류가 되어야 한다는 내부 공감이 기반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 N세대로 일컬어지는 새로운 문화에 익숙한 젊은 직원들의 증가 등 내부 변화도 함께 반영했다.

한화그룹은 ‘젊은 한화’를 위한 조직문화를 만들고자 임직원들의 의견을 최우선 반영했다. 3월부터 한화그룹은 그룹 내 모든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선진조직문화 변화를 위한 선호도 조사, 직급별 워크샵을 통한 세부의견 등을 청취해 반영했고, 선진기업들의 사례를 분석해 결과물을 도출했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임직원들의 선호도 조사 등을 탑다운(Top-Down)방식이 아닌 바텀업(Bottom-Up)방식의 시스템을 도입해 임직원 개개인이 더욱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동참하게 만들었다”며 “이번 제도 도입을 통해 이미 근무하고 있는 임직원들뿐 아니라, 예비직장인들에게도 ‘누구나 다니고 싶고, 누구나 일하고 싶은 직장’으로 거듭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