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고령화·북핵 등 3대 리스크 신뢰한 3대 국제 신평사

입력 2016-10-10 10: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유일호 부총리 각 사 면담… 신용등급 하향 추세 속 한국은 긍정 평가

무디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피치 등 3개 국제신용평가기관은 8일(현지시간) 한국의 가계부채·인구고령화·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해 “한국 경제와 한국 정부는 충분히 대응할 정책적 역량이 있다”고 평가했다.

2016년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3대 신용평가사 글로벌 총괄과 각각 면담을 했다.

유 부총리는 선진국·신흥국의 국가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되는 추세에서도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에 감사를 표하고, 경기활력 제고와 4대 구조개혁 등을 통한 경제 체질을 병행하는 정부의 노력과 의지를 설명했다.

3대 신용평가기관 글로벌총괄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은 “상대적으로 견조한 성장세와 더불어 우수한 재정·대외건전성 등 한국 경제가 가진 차별화된 강점에 기인한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한국의 가계부채, 인구 고령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의 취약 요인에도 “한국 경제와 한국 정부는 충분히 대응할 정책적 역량이 있다”고 말했다.

S&P는 지난 8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상향 조정했다.

무디스는 지난해 12월 S&P 기준으로 ‘AA’ 수준인 ‘Aa2’ 등급으로 한 단계 상향조정했으며, 피치는 2012년 9월 네 번째 등급인 ‘AA-’ 등급을 부여한 뒤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

국가 신용등급은 그 나라에 돈을 빌려줬을 때 제대로 받을 수 있는지가 핵심이며, 실물경기 자체보다는 재정 건전성과 대외 지급 능력 같은 요소가 중요하다. 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이 240% 내외인 일본이나 100% 내외 미국·영국·캐나다 등 대부분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의 국가부채 수준은 현재 40% 내외로 현저히 낮아 신용등급 평가에 유리하다.

또한, 경상수지 흑자가 지속되면서 현재 세계 7위(작년 기준) 규모인 3700억 달러 내외의 외환보유액을 확보하고 있어 이 역시 국가 신용등급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