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 한진해운 하역대금 부족분 지원 나설듯

입력 2016-09-22 06:28수정 2016-09-22 15: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KDB산업은행이 한진해운 물류대란 사태를 해소하기 위한 자금 지원 방안 검토에 들어갔다.

하지만 하역대금 추가 부족 규모나 담보 가치 등을 면밀히 살펴본 후 지원 여부를 최종 결정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이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진해운 주채권은행인 산은은 한진해운 하역자금 지원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

채권단 관계자는 “대한항공이 600억 원 자금 지원을 결정함에 따라 산은도 하역대금과 관련해 추가 부족분에 대한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며 “이와 관련해 아직 결정된 바는 없다”고 말했다.

앞서 대한항공은 이날 오후 긴급 이사회를 열고 한진해운 물류대란 사태를 해소하기 위해 한진해운의 매출채권을 담보로 600억 원을 대여하기로 의결했다. 해당 자금 지원은 절차가 완료되는 즉시 집행된다.

이에 따라 한진그룹은 지난 13일 집행된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사재 400억 원과 함께 총 10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한 셈이다.

그간 정부는 한진해운 물류대란 사태와 관련해 “추가 자금 지원은 없다”며 대주주의 사회적 책임 원칙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한진그룹이 물류대란 해소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등 일종의 ‘성의’를 표시하자, 정부 역시 한진해운에 필요한 하역 자금 지원을 긍정적으로 검토해 보겠다는 입장으로 선회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이날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금융권 창업ㆍ일자리 박람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진해운 하역 문제를 풀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고, 그 과정에서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도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긴밀하게 협의하고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반면, 주채권은행인 산은은 한진해운 물류대란 해소와 관련한 자금 지원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채권단이 기업을 지원할 때는 자율협약이나 워크아웃 등 채권단 주도 구조조정 하에서 기업을 정상화한 후 채권 등을 회수하는 차원에서 이뤄진다. 하지만 한진해운 하역비 추가 지원의 경우, 회수 가능성이 낮을 뿐더러 채권단으로서 지원해야 할 근거나 명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우선, 이번에 대한항공이 결정한 600억 원이 하역대금으로 투입된 이후, 하역대금에 필요한 부족자금을 정확히 산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게 산은 측 설명이다.

한진해운 물류 대란 사태를 최소화하기 위해 당장 필요한 자금은 1730억~2000억 원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 중 한진그룹이 1000억 원을 지원함에 따라 추가로 필요한 자금 규모는 약 730억~1000억 원 내외로 예상된다.

하지만 해당 자금 규모는 법원과 회사 측이 산정한 것으로, 추산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필요자금 규모에 따라 지원 여부가 결정되는데, 산은은 아직 법원과 회사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제대로 전달받지 못해 총 부족자금 규모를 구체적으로 산정하지 못하고 있다.

만약 산은이 자금을 지원한다 하더라도 담보 문제가 얽혀 있다.

현재 한진해운의 경우 담보로 잡을 만한 우량자산이 거의 없기 때문에 산은 역시 대한항공과 동일하게 한진해운의 매출채권을 담보로 잡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한진해운 매출채권 역시 담보로서 온전히 인정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산은 관계자는 “매출채권이 약 1500억~2000억 원 정도라고 가정해도, 현재 법정관리 상황이기 때문에 이것 역시 채권을 온전히 회수할 수 있을지 따져봐야 한다”며 “담보로서의 가치 판단 여부도 들여 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