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유가상승과 금리인상 우려 완화로 상승…다우 0.99%↑

입력 2016-09-16 06: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뉴욕증시는 15일(현지시간) 상승했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77.71포인트(0.99%) 오른 1만8212.48로 마감했다. S&P500지수는 21.49포인트(1.01%) 상승한 2147.26을, 나스닥지수는 75.92포인트(1.47%) 오른 5249.69를 기록했다.

이날 미국 동부연안을 잇는 휘발유 송유관의 재가동 차질로 원유 가격이 상승한데다 기대에 못미치는 경기 지표로 기준금리인상 가능성이 낮아진 것이 주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 애플의 아이폰7 판매가 호조를 보이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이날 발표된 경제 지표들이 내주에 있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결행할 수준에 못미친 것이 주가에는 오히려 호재로 작용했다. 물가 상승과 향후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8월 소매판매는 0.3% 감소한 4563억2000만 달러(계절 조정치)에 그쳐 지난 3월 이후 처음으로 줄었고 8월 산업생산도 예상치보다 낮은 0.4% 감소세를 나타냈다. 8월 미국의 생산자물가(PPI)는 변동이 없어 연 2%의 물가상승 목표와는 거리가 있었고 7월 기업 재고도 변동이 없는 것으로 발표됐다.

이에 비해 지난 9월10일로 끝난 주간의 미국 실업보험청구자 수는 1000명 늘어난 26만 명(계절 조정치)으로 마켓워치 조사치 26만5000 명을 밑돌아 고용상황은 견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분기(2016년 4~6월)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는 주식과 채권 등 달러 표시 자산에 대한 외국인 투자 증가에 힘입어 9.1% 줄어든 1199억달러였다.

애플의 주가는 3.4% 올라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보이면서 지수 오름세를 주도했다. 애플의 주가는 아이폰7 판매 호조와 삼성 갤럭시 노트7 전량 회수 사태에 따른 반사이익을 톡톡히 누렸다. 애플이 초기에 준비한 아이폰7 플러스는 온라인 선주문을 통해 매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공학주인 블루버드는 골드만삭스가 '매수' 의견을 제시하면서 11.37% 급등했다.

업종별로도 기술업종이 1.7% 가량 오르면서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통신업종과 헬스케어업종, 에너지업종도 1% 넘게 올랐고, 금융업종과 산업업종, 소재업종, 유틸리티업종 등 전 업종이 강세를 나타냈다.

이날 트레이더들이 연방펀드(FF) 선물 가격에 반영한 기준금리인상 확률은 각종 경기 지표 발표 이후 뚜렷이 하락했다. 9월 기준금리 인상 확률은 20%에서 18%로, 12월 인상 확률은 59%에서 50% 밑으로 떨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