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형 빚’ 저축은행 가계대출 가파른 증가

입력 2016-09-11 14: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7월에만 5924억원 늘어…월별 증가폭 사상 최대치

저축은행 가계대출 규모가 역대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은행에서 돈을 빌리기 어려운 저소득층의 ‘생계형 빚’이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현재 전국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6조6920억원으로 올해 1~7월에만 2조9984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저금리로 유동성이 풍부해진 가운데 저축은행들이 적극적으로 가계대출 영업에 나선 결과로 풀이된다.

문제는 증가폭이 너무 가파르다는 점이다.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7월에만 5924억원 늘었는데 월간 증가폭으로는 한국은행이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7년 12월 이후 최고치다. 올해 저축은행 가계대출 증가율은(21.9%)는 같은 기간 신용협동조합,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등 전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증가율(8.5%)보다 월등히 높다.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시중은행에서 돈을 빌리지 못하는 저소득∙저신용층의 ‘생계형 빚’이 많고 시중은행보다 이자가 높다. 은행보다 훨씬 높은 이자를 감당하면서 돈을 빌려야 할 정도로 생활이 어려운 가계가 많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7월 저축은행의 평균 대출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11.20%로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금리(2.96%)의 약 4배 수준이다.

이 같은 현상을 두고 금융당국이 은행의 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가계부채의 질이 나빠지는 부작용이 나타났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노년층, 구직자, 실업자 등 취약계층이 2금융권으로 많이 이동한 것 같다”며 “취약계층의 연체율이 높아지고 신용유의자가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이 걱정되는 대목”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