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4대 은행, 상반기 부실채권 22조 원 상각 처리…전년비 44% 급증

입력 2016-08-31 15: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기둔화에도 미래 수익성 확보하려는 전략

중국 대형 국영은행들이 재무제표 건전화를 위해 대규모로 부실채권을 상각 처리하고 있다고 30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중국은 경기둔화로 몸살을 앓고 있지만 어떻게 해서든 부실채권을 정리해 미래 수익성을 확보하려는 전략이라고 WSJ는 설명했다.

공상은행과 건설은행 농업은행 중국은행(BOC) 등 중국 4대 은행은 올해 상반기 1303억 위안(약 22조 원)의 부실채권을 상각 처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4% 늘어난 수치다.

이에 2분기 말 전체 대출 대비 부실채권 비율은 1.75%로 전분기 대비 같았다. 이 비율이 오르지 않은 것은 2013년 중반 이후 처음이다.

여전히 부실채권 정리 이외 많은 과제가 중국 은행들을 괴롭히고 있다. 신규대출은 줄어들고 있으며 7월은 거의 대부분이 주택담보대출이었다고 WSJ는 전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2012년 이후 여러 차례 기준금리를 낮추면서 은행들이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은행 관계자와 애널리스트들에 따르면 정부의 출자전환 계획에 따라 은행들은 앞으로 수개월간 더욱 부실채권으로 의심되는 자산을 떠안을 것으로 보인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정부의 부실채권 비율이 실제로는 15%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부가 주장하는 1.75%와는 차이가 크다. 이는 부실채권 인정 기준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라고 신문은 설명했다. IMF는 중국 정부에 상환이 90일 이상 연체된 채권은 모두 부실채권으로 분류하도록 촉구하고 있지만 중국 은행감독관리위원회(CBRC)는 이를 거부하고 있다. 중국은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은행이 판단했을 때에만 부실채권으로 간주하고 있다.

중국 은행들이 수년간 부실채권 급증에 막대한 자금을 대손 충당금으로 쌓아놓아야 하는 가운데 마땅히 투자할 곳이 없는 것도 문제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경제둔화 조짐이 나타났던 3년 전 중국 은행들의 대손충당금 비율은 부실채권 대비 평균 290%로, 정부가 요구하는 최소 수준 150%를 훨씬 웃돌았다.

그러너 부실채권이 계속 늘어나면서 이런 여유가 줄어들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공상은행의 상반기 대손충당금 비올은 143%로, 3월 말의 141%에서 약간 올랐다.

농업은행의 저우무빙 회장은 “우량 기업은 대출을 하지 않고 주로 채권이나 주식으로 자금을 조달한다”고 한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