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값 폭리 논란’에 꼬리내린 밀란...“반값 복제약 내놓겠다”

입력 2016-08-30 08:55수정 2016-08-30 10: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알레르기 치료제 ‘에피펜’ 가격을 8년간 무려 550% 올려 폭리 논란에 휩싸인 미국 제약사 밀란이 이 약의 복제약을 내놓겠다고 발표했다.

헤더 브레시 밀란 최고경영자(CEO)는 29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에피펜 가격에 대한 환자들의 깊은 절망과 우려를 이해한다”며 “이 중요한 제품이 필요한 모든 이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대중의 열망을 공유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방침을 밝혔다.

복제약 가격은 기존 에피펜의 절반 수준인 한 상자(주사제 2개)당 300달러다. 이미 허가받은 약품의 복제약 생산은 미국 식품의약품국(FDA)의 별도 허가가 필요하지 않아 밀란은 수주 내로 현재 600달러인 에피펜의 복제품을 만들어 300달러에 판매할 계획이다.

에피펜은 원래 화이자가 개발했으나 밀란이 2007년 독점 판매권을 사들였다. 밀란은 에피펜 독점공급권을 인수한 이후 가격을 100달러에서 현재 약 600달러로 6배나 올렸다. 주사제 2개의 원가가 2달러 안팎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밀란이 폭리를 취한다는 비판이 거세졌다. 특히 밀란은 그간 의회 로비를 통해 에피펜을 전국 학교에 비치하도록 한 전력도 있어 논란은 더 커졌다.

하지만 브레시 CEO는 스스로 주사를 놓도록 설계된 에피펜에는 ‘보이지 않는 주삿바늘’ 등 제품 개선에 수천만 달러가 투입됐다면서 가격 인상에 대한 정당성을 주장했다. 그러다가 최근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 후보가 밀란의 약값 인상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밀란은 궁지에 몰리게 됐다. 일각에선 브레스 CEO가 민주당 소속 조 맨친 웨스트버지니아 상원의원의 딸이라는 점에서 클린턴의 비난이 큰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2025년까지 시장에서 에피펜의 독점적 지위를 보호받는 밀란이 일주일새 거센 비판을 의식해 두 차례나 수습 대책을 내놨다는 점에 주목했다. 밀란은 지난주 100달러 수준이었던 약값 보조금을 300달러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비용 지원을 받을 저소득층 환자 수를 확대하겠다는 방안도 내놨다.

한편, 블룸버그통신은 밀란의 반값 복제약 출시가 알레르기 치료제 시장점유율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