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든북] 한은 “하반기 주택시장 다소 둔화될 것”

입력 2016-08-29 12:00수정 2016-08-30 14: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택매매가격 상승률 1% 미만, 지방 중심으로 주택거래량 감소 전망

올 하반기 주택시장은 상반기에 비해 다소 둔화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골든북)’에 따르면 전국 주택시장 전문가 94명을 대상으로 올해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상반기에 비해 다소 둔화될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

주택시장 둔화 전망 응답비중은 43.9%로 개선을 예상한 응답비중(13.6%)을 크게 상회했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상반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75.9%)이 많은 반면, 지방은 둔화 전망비중(67.4%)이 높았다. 특히 대경(대구ㆍ경북)권, 호남권, 충청권에서 주택시장 둔화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택가격은 올 하반기 상승이 56.8%로 하락 응답비중(43.2%)보다 높았다. 다만, 주택가격 상승을 전망한 전문가들도 대부분 가격 상승률이 1% 미만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재건축주택의 경우에는 1~3% 상승할 것이라는 견해가 가장 많았고, 신규 분양주택가격도 기존 주택보다 가격 상승폭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전월세가격은 ‘±1% 이내의 등락’을 보일 것이라는 응답이 대부분(71.0%)을 차지했다.

▲한국은행

권역별로는 수도권과 제주권 및 강원권은 주택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고, 대경권과 충청권, 호남권 등은 하락 전망이 우세했다. 다만 가격 변동폭은 모든 지역에서 ±1% 내외로 크지 않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동남권의 경우 울산과 경남은 가격 하락 전망이 부산은 가격 상승 전망이 각각 우세했다.

주택거래량도 상반기에 비해 다소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매매거래는 투자심리 위축으로 ‘감소’(‘다소 감소’ 포함)할 것으로 보는 응답자가 절반을 소폭 상회(51.1%)했고, 전월세 거래는 ‘보합’ 응답비중(49.2%)이 가장 많았다. 재건축주택 및 신규분양 시장에서의 거래도 ‘감소 전망’이 ‘증가 전망’보다 우세했다.

수도권 재건축 주택시장에서는 완만한 가격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거래량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대부분(89.5%)의 전문가들은 재건축 주택가격의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가격 상승폭은 ‘1~3% 미만’ 예상이 52.6%로 가장 많았고, ‘3% 이상’도 31.6%로 높게 나왔다. 다만, 거래량은 상반기에 비해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36.9%)이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31.6%)보다 다소 많았다.

수도권 재건축 주택가격은 향후에도 추가 상승여력이 있다는 응답(68.4%)이 많았다. 주택시장 전문가들은 가격 상승을 주도하고 있는 강남 재건축주택의 경우 주거환경이 우수하고 재건축주택에 대한 초과이익 환수제도가 유예 중인 점을 감안할 때 투자수요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가격 상승세 지속되는 기간은 2017년 상반기까지(47.4%), 2016년 하반기까지(31.6%), 2017년 하반기까지(21.1%)의 순으로 응답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최요철 한은 지역협력실장은 “전문가들은 강남 재건축 주택사업의 진행 속도, 아파트 입주물량 증가 시점 등이 재건축 주택가격의 상승세 지속 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최근 시행된 금융기관 여신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이 수도권보다 지방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금융기관이나 여신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의 경우 수도권보다 지방에서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중도금대출 보증요건 강화의 경우 수도권 재건축 아파트와 신규분영시장에서 투자수요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예상된다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하반기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는 정부정책과 함께 국내외 경제여건, 아파트 입주물량 등을 꼽았다. 권역별로는 수도권과 대경권에서는 ‘정부정책’이라는 응답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주력산업의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동남권의 경우에는 ‘국내외 경제여건’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한편, 조사에는 부동산114, 주택산업연구원, 한국감정원, KB국민은행 등 전문가 94명이 참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