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유망기업에 400억 투입해 ‘한국판 다이슨’ 키운다

입력 2016-08-29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100대 성장 유망기업에 400억 원을 투입해 ‘한국판 다이슨’을 만들 계획이다. 다이슨은 부품을 고려하지 않고 이상적인 완제품 디자인을 먼저 정한 뒤 제품을 개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날개 없는 선풍기 등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해 지난해 매출 26% 성장(생활가전 시장 성장률 6%)을 달성한 바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29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2016 디자인 혁신포럼을 개최하고 중점 추진과제를 선정했다.

이번 추진 방안에 따르면 산업부는 100대 성장 유망기업을 발굴해 디자인 중심의 경영을 할 수 있도록 2020년까지 총 400억 원을 투입한다. 디자인 역량과 기업 환경을 진단해주고 디자인 경영 로드맵을 제시해줄 뿐만 아니라 디자인 연구개발(R&D), 판로 확보,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모든 가용 수단을 동원해 패키지로 지원한다는 설명이다.

또 수출이나 신제품 개발을 앞둔 기업들의 ‘디자인 애로 해결사’로 단기 R&D 바우처를 내년 신설해 2020년까지 300억 원을 지원한다. 기업이 필요할 때 즉시 디자인 개발에 착수할 수 있도록 바우처 형태로 지원하며 개발 기간은 6개월 이내다. 디자이너들이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면 창업할 수 있도록 올해 하반기에 60억 원을 투입해 지원체계도 마련한다.

디자인 진흥 전담기관인 한국디자인진흥원은 조직개편을 통해 중소기업의 제품 개발 전 주기를 지원하는 국가디자인 경영센터로 탈바꿈시킨다. 백화점과 대기업 플래그숍 내 디자인 혁신제품 전용 매장은 현재 3개에서 2020년 16개로 확대한다.

현재 진행 중인 군인 용품(수통, 방한장갑, 마스크 등 5종) 디자인 개선 사업을 소방과 경찰 분야까지 확대하는 한편 터미널, 전통시장, 산업단지 등 공공시설도 다시 디자인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매년 개최되는 디자인코리아는 국제 박람회로 위상을 제고시킨다. 또 우리 디자인 기업이 해외에 진출할 때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코리아 디자인센터를 2020년까지 10개로 확대 구축한다. 현재 중국 이우시에 1개 설치 운영 중으로 중국과 인도, 이란 등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유능한 신진 디자이너를 매년 10명씩 발굴하고, 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디자인과 엔지니어링을 아우를 수 있는 인재를 2020년까지 500명 육성할 방침이다.

현재 3개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융합형 디자인전문대학원은 2020년까지 8개로 확대하고 표준 교육 커리큘럼을 마련하는 한편, 해외 교육기관과의 공동 산학 프로젝트를 발굴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