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설탕세 물렸더니 탄산음료 소비 ‘뚝’…탄산업계 대응 촉각

입력 2016-08-24 15: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국에서 비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한 설탕세 때문에 탄산음료 소비가 줄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공중보건학회는 23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캘리포니아 주 버클리 시에서 설탕세가 발효된 지난해 3월 이후 이 지역 탄산음료 소비가 21% 감소했다고 밝혔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인구 11만5000명의 버클리 시는 지난 2014년 11월 주민 75% 찬성으로 설탕세를 도입했으며 이듬해인 2015년 3월에 해당법이 발효됐다. 이 법에 따라 이 지역 주민들은 설탕이 들어간 음료 구매 시 온스당 1센트의 설탕세를 내야 한다.

이 지역의 연평균 소득 수준은 5만9000달러로 미국 전 도시 평균(6만5000달러)을 밑돈다. 버클리 시 주민의 상당수가 탄산음료 소비가 많은 흑인과 라틴계 사람이라고 WSJ는 전했다. 설탕세 도입 후 시 당국이 거둔 세금은 140만 달러(약 15억7000만원)다. 공중보건 전문가들은 시 당국이 거둬들인 세금보다 설탕세 도입으로 탄산음료 소비가 현저하게 줄어든 점에 주목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설탕세 도입 후 버클리 시 저소득층의 탄산음료 소비는 26% 줄었다. 에너지 드링크와 스포츠 음료도 각각 29%, 36% 줄었다. 설탕이 함유된 과일음료나 커피 등의 소비도 13%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버클리 시의 식수 소비량은 63% 증가했다.

보고서는 이 같은 결과는 설탕세가 탄산음료 소비를 낮춰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시사한다고 언급했다. 다만 탄산음료 소비 감소에는 탄산음료의 유해성에 대한 인식 등 다른 요소도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코카콜라와 펩시 등 미국의 대형 음료업체들은 비만의 원인으로 설탕 음료만을 지목해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불공평하다고 주장한다. 미국인이 평균 섭취하는 일일 칼로리에서 설탕이 함유된 음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10%가 안 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이에 미국 대형업체들은 2009년 이후 20여 개 도시에서 설탕세 도입을 저지하고자 1억 달러 이상을 투입하며 로비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설탕세 도입은 확대되는 추세다.

샌프란시스코와 오클랜드에서도 오는 11월 버클리와 비슷한 수준의 설탕세가 도입될 것으로 전망되며 필라델피아에서는 지난 6월 설탕이 함유된 음료에 1.5센트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이 최종 승인됐다. 콜로라도 주 북동부 도시 볼더(Boulder)에서는 설탕음료 1온스당 2센트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

WSJ는 설탕세 도입 확대는 가뜩이나 매출 감소에 허덕이는 음료업체들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미국의 탄산음료 매출은 11년 연속 감소하고 있으며 웰빙 열풍에 1인당 탄산음료 소비량도 30년래 최저치로 낮아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