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국병’ 콜레라 15년만에 발생 원인은?... “무더위 추정”

입력 2016-08-23 11:3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표적인 후진국 병인 '콜레라'가 국내에서 2001년 이후 15년만에 발생하자 원인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18일 광주광역시 소재 미래로21병원에서 관할 보건소로 59세 남자 환자가 신고됐으며, 22일 실험실 검사 결과 콜레라균(V.cholerae)이 검출됐다고 23일 밝혔다.

해당 환자는 해외여행력이 없음이 확인됐다. 2003년 이후 국내 신고된 콜레라 환자는 모두 해외유입환자였다.

콜레라는 콜레라균(V.cholerae)에 오염된 어패류 등 식품이나 오염된 지하수와 같은 음용수 섭취에 의해 발생한다. 드물게 환자의 대변이나 구토물 등과의 직접 접촉에 의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잠복기는 수시간에서 5일까지이며, 보통 2~3일이다. 복통을 동반하지 않는 급성 수양성(물 같은) 설사와 오심, 구토가 나타난다.

주로 하수도 시설 등이 정비되지 않은 후진국에서 발병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01년인 15년 전 이후 발병한 적이 없다.

국내 콜레라 발생에 대해 정기석 질병관리본부장은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브리핑을 통해 "콜레라 국내 발생은 예상 밖"이라며 "추정되는 것은 날이 너무 더워 콜레라균이 창궐하기 너무 좋은 환경이 조성됐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콜레라는 입 속으로 수천마리 균이 들어와야 감염된다"며 "짧은 시간에 더위 때문에 균이 많이 자랐기 때문 아닌가 한다"고 설명했다.

콜레라는 아주 많은 설사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설사는 쌀 뜨물같이 나오는데 수도꼭지 를 틀어놓은 것처럼 많은 설사를 한다. 불과 병이 발생한 지 하루 만에 탈수로 인한 쇼크에 빠질 수 있고, 어린이나 노약자는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심한 설사로 구토가 동반되기도 한다.

콜레라는 이미 개발된 백신 주사로 감염을 예방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오염된 물과 음식 등에 접촉하지 않도록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콜레라균은 끓는 물에서 죽기 때문에 음식물을 조리할 때 충분히 가열하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