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각 피한 금융당국 수장들…금융개혁 속도 낸다

입력 2016-08-17 09:38수정 2016-08-17 14: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교체설이 나돌았던 금융당국 수장들이 16일 개각에서 재신임을 받으면서 추진 중인 금융개혁에 속도가 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올 하반기 최대 이슈인 우리은행 매각과 인터넷은행 출범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임종룡 위원장은 취임과 동시에 서민금융 지원, 비합리적 금융관행 개혁, 새로운 경쟁 체제 도입, 핀테크(금융+IT) 활성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계의 ‘손톱 밑의 가시’를 빼고 소통을 전면에 내세웠다.

특히 업계와의 소통 창구로 현장점검반을 운영해 올해 1년간 총 616개 금융회사를 방문해 4057건의 건의사항을 접수했다. 업계의 질의나 요청을 2주 내 답변한다는 원칙은 금융권 전역에서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다음 달엔 서민금융 컨트롤 타워인 서민금융진흥원이 출범한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도 역대 최대 규모의 조직개편과 인사조직 정비를 통해 금융소비자 권익강화 작업을 이어갈 수 있게 됐다. 특히 소비자보호처장을 부원장급으로 승격시키고, 민원과 관련해선 특별검사권을 주는 등 파격적인 변화도 꾀했다.

다만, 아직 해결하지 못한 숙제가 남아 있다.

먼저 임종룡 위원장은 가장 중요한 금융개혁 목표 중 하나인 은행권 개인성과제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은행연합 노조의 강한 반대로 성과제를 민간영역까지 확대하기엔 다소 진통이 예상된다.

또 은산분리법 완화가 국회에서 표류 중이어서 인터넷은행 출범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우리은행은 이르면 다음 주 매각 공고가 나올 것으로 알려졌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지난 10일 기자간담회에서 우리은행 매각과 관련해 정부가 분명한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진웅섭 원장이 파격적 조직 개편에 따른 부서 간 업무 관할 등 금감원 내 미묘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앞으로 외부 금융개혁 성과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최근 대우조선 구조조정 과정에서 산업은행과 금융당국의 책임론이 부상하기도 했지만, 거시적 차원에서 금융당국의 개혁 의지와 성과에 청와대가 합격점을 준 것”이라고 해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