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대 국가프로젝트] 국민 10만명 유전정보로 한국인 3대 암 공략

입력 2016-08-10 11: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밀의료 개념도(보건복지부)

정부는 국민 10만 명의 유전정보를 구축하고 3대 암에 대한 정밀의료 시범서비스를 추진한다.

10일 열린 대통령 주재 과학기술 전략회의에서 정밀의료 기술개발 계획이 국가전략 프로젝트로 선정됐다. 정밀의료는 유전체 정보, 진료·임상정보, 생활습관정보 등을 통합 분석해 환자 개인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진료의 정확도와 치료 효과를 동시에 높일 수 있다.

정부는 2021년까지 한국인 10만 명의 유전정보와 진료정보, 생활환경·습관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축적하는 정밀의료 코호트(연령별, 질환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해외 정밀의료 코호트와 연계·활용이 가능한 수준의 국제표준에 따를 방침이다.

축적된 연구자원을 연계·분석해 기업체, 병원 등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구축하고, 병원에서 정밀의료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차세대 병원 의료정보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 한국인 3대 암(폐암, 위암, 대장암)에 대해 1만 명의 유전체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항암 진단·치료법과 신약 개발에 나선다. 2021년부터 3대 암을 대상으로 하는 정밀의료 시범서비스를 추진할 방침이다.

아울러 정밀의료 기술 사업화 전주기 컨설팅을 지원하는 정밀의료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국제협력을 통해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정밀의료 특별법을 제정해 종합적·체계적인 지원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국민 10만 명 코호트 구축과 암 관련 정밀의료 서비스에는 각 1000억 원씩 약 20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복지부는 정밀의료 기술개발을 통해 2025년이면 건강수명 3년 연장(73세→76세)되고, 의료비가 지금의 절반 수준(8%→4%)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3대 전이암(폐암, 위암, 대장암)의 5년 생존율은 6%(8.4% → 14.4%)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147조 원 규모의 세계 정밀의료 시장에서 7%를 점유해 10조3000억 원 부가가치 창출 및 약 12만 명의 고용 유발 효과가 날 것으로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