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건축 인허가 면적, 전년동기 대비 9.2% 증가

입력 2016-08-01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료=한국감정원)
올해 상반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늘어난 반면 착공은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토교통부는 2016년 상반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전년 동기 보다 9.2% 증가한 8756만7천㎡, 동수는 6.4% 증가한 13만4348동이라고 밝혔다.

지역별 허가면적은 수도권 3931만1천㎡(5만㎡, 0.1%↑), 지방 4825만6천㎡(729만1천㎡, 17.8%↑)이다.

착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3.0% 감소한 6897만㎡, 동수는 4.2% 증가한 11만3705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3094만㎡(△221만1천㎡, 6.7%↓), 지방 3802만9천㎡(7만4천㎡, 0.2%↑)이다.

준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13.4% 증가한 5929만5천㎡, 동수는 6.1% 증가한 9만3350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2620만5천㎡(581만6천㎡, 28.5%↑), 지방 3308만9천㎡(120만8천㎡ , 3.8%↑)이다.

또한 지난해 동기 대비 건축물 용도별 허가, 착공 및 준공면적을 보면 우선 건축 허가면적은 주거용 3938만3천㎡, 공업용은 835만8천㎡로 각각 18.9%, 5.3% 늘었고 상업용 2373만9천㎡, 문교사회용은 434만7천㎡로 0.1%, 17.2% 줄었다.

착공면적은 주거용 2924만3천㎡, 상업용 1893만7천㎡, 공업용 744만3천㎡, 문교사회용 322만1천㎡로 각각 4.9%, 6.5%, 2.7%, 21.7% 모두 감소했다.

준공면적은 주거용 2458만7천㎡, 상업용 1585만5천㎡, 문교사회용은 444만2천㎡로 각각 24.1%, 11.7%, 12.3% 증가한 반면 공업용은 703만5천㎡로 1.0% 줄었다.

지역별 허가면적을 살펴보면 수도권의 경우 서울특별시(81.6%), 경기도(6.9%)는 증가한 반면 인천광역시(△59.7%)는 줄었고 지방의 경우 광주광역시(208.2%), 울산광역시(167.7%)의 면적 증가가 두드려졌다.

아울러 규모별 변동현황 및 멸실 현황을 보면 규모별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4.3%인 5만9567동, 100~200㎡ 건축물이 2만5403동(18.9%), 300~500㎡ 건축물이 1만8276동(13.6%) 순이다.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5만808동으로 전체의 44.7%, 100~200㎡ 건축물이 2만681동(18.2%), 300~500㎡ 건축물이 1만6113동(14.2%) 순이며 준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3만6044동으로 전체의 38.6%, 100~200㎡ 건축물이 1만7461동(18.7%), 300~500㎡ 건축물이 1만4615동(15.7%) 순으로 집계됐다.

용도별 건축물 멸실은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이 각각 422만7천㎡(2만8755동), 192만㎡(6061동), 58만7천㎡(771동), 26만㎡(352동) 멸실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