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호 국토교통부 2차관
우리나라의 경우 GPS는 1984년 대한항공 격추 사건을 계기로 민간에 공개됐으나, 민간용에는 고의적으로 잡음 신호를 넣어 100m 이상 큰 오차가 발생했다. 가격도 비싸 보편화되지 못하다가 민간 항공사의 요구로 2000년부터 잡음을 넣지 않으면서 오차가 15m 수준으로 줄었다. 그 후 15년간 급속도로 발전한 위성항법 기술 덕분에 손바닥 위에서 교통지도와 교통정보는 물론, 소방구호, 대중교통 길 찾기, O2O(Online to Offline) 등 다양한 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됐다.
그러나 15m 수준의 오차로는 자율주행차, 드론과 같은 신산업의 확산에 꼭 필요한 안전성이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다. 그래서 구글, 현대자동차 등의 자율주행차 개발 부서에서는 측량용과 비슷한 정밀도를 가진 수천만 원대의 GPS위성항법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측량용은 정밀도는 매우 높지만 고속으로 움직이는 차량에는 부적합하고 가격도 비싸 상용화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자율주행차에 최적화된 정확도, 신뢰도, 가격 등을 갖춘 도로교통용 정밀위성항법기술을 개발해 올해 상용화에 들어갔다. 고속으로 달리는 자동차의 위치를 차로 중심선에서 좌우 10~45㎝로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용 수신칩의 가격도 1만 원 정도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미국과 일본, 유럽 등 선진국들은 현재의 위성항법 성능과 가격 수준에 안주해왔다. 우리나라는 2009년부터 자율주행차 같은 정밀 측위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한발 빠르게 연구·개발에 나선 결과, 이제 그 노력이 빛을 볼 때가 가까워진 것이다.
정밀 위성항법은 오차 1m 수준의 정확도가 필요한 자율자동차, 드론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융·복합의 기반 기술이 될 것이다. 운동선수의 행동궤적을 정확히 측정하고, 프로골퍼에게는 GPS캐디가 필수품이 될 것이다. 맹인 안내견을 대신할 수도 있다. 또 사물인터넷(IoT)의 핵심 요소로 초연결사회를 촉진하는 등 위치기반 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다양한 파생산업을 만들어낼 것이다.
정밀 위성항법에 대한 시대적·기술적 요구는 더욱 커질 것이다. 관련 시장도 인프라 투자, 연관 제품, 서비스 생산 등 수조 원 규모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다는 사실에 안주하지 말고 후발국들과의 기술 격차를 더욱 벌려가면서, 이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자리 잡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GPS 오차가 100m에서 15m 수준으로 줄어든 2000년부터 내비게이션이 급격히 늘었듯이 오차가 1m 이내로 줄어들면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의 기반 요소인 공간정보 분야에서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 우리가 개발한 정밀 GPS 기술이 계획대로 상용화되고 국제표준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정부와 산·학·연이 함께 최선을 다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