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 ‘현판 반납’ 초강수…일촉즉발 조선노사

입력 2016-06-21 11: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가 박대영 사장에게 현판까지 반납하는 등 노사간 힘겨루기가 일촉즉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는 고용 관련 이슈가 불거지자 박 대표가 노동자 대표기구라는 현실을 부정했다며 현판 반납이라는 초강수를 두며 강경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21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 강성 노조의 파업 예고에 이어 비교적 사측에 협조적이던 대우조선해양이나 삼성중공업도 파업 국면으로 전환하면서 조선업 노사가 갈등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오는 24일 이기권 고용부 장관이 참석하는 대우조선과 삼성중공업 노사 간담회를 기점으로 조선업계 내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정부는 노조가 파업을 강행할 경우 특별고용지원업종 대상에서 제외할 수도 있다는 강경한 입장을 천명했다. 그러나 이번 파업은 근로자들의 생존이 달린 고용과 직별된 문제로 조선 빅3가 동시다발적으로 파업 결의에 나서는 등 향후 갈등이 격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여기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들어간 STX조선해양까지 파업 태세를 갖췄다.

앞서 현대중공업 노조는 대의원대회를 열어 만장일치로 쟁의 발생을 결의했다. 이어 20일 전격적으로 중앙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 신청을 냈다. 조정 중지 결정이 내려지면 노조가 합법적으로 파업할 수 있지만, 행정 지도 결정에도 노조가 파업을 하면 불법이다. 대우조선 노조는 지난 14일 사측과 채권단의 일방적 자구 계획에 반대하며 파업 찬반 투표를 강행했고, 노조원 85%의 찬성으로 파업을 결의했다. 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도 박 사장이 공개한 구조조정 자구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지난 15일 쟁의를 결의했다.

한편 정부는 이같은 조선 3사 노조의 반발에 강경 대응을 예고한 상태다.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특별고용지원업종의 지정 요건으로 개별 기업들의 자구 노력을 강조한 만큼, 파업 강행으로 인한 구조조정 지연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것이다.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이 이뤄질 경우 정부는 고용유지를 위한 휴업수당 등 기업과 근로자에 직접적인 지원을 실시한다. 실업급여 지급기간 연장을 비롯해 체불임금 청산, 재취업훈련, 창업 지원 등에 연간 4700여 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