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올랜도 총기난사 참사에 민간인 방탄복 소유 논란 고조

입력 2016-06-20 14: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찰 무력화 등에 방탄복 판매 금지 주장 제기돼

미국에서 플로리다 주 올랜도 총기난사 참사를 계기로 민간인의 방탄복 소유와 관련해 논란이 고조되고 있다고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올랜도 총기난사 범인인 오마르 마틴은 범행 수주 전 한 총기점포에 들러 방탄복 구입을 시도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만약 범인이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했다면 훨씬 쉽게 미국 경찰특공대(SWAT) 저격수가 쏜 총알을 막는 방탄복은 물론 경찰이 입은 방탄복을 관통할 수 있는 총알까지 구했을 것이라고 WSJ는 전했다.

총기난사를 계기로 돌격소총 등 특정 종류의 총기 입수를 지금보다 어렵게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방탄복은 범인을 제지시키기 더 어렵게 할 수 있는 위험에도 규제가 비교적 느슨한 상태이며 경찰 등 법 집행당국과 일부 제조업체는 방탄 장비가 점점 범죄자의 손에 건네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캘리포니아보안관협회의 코리 살질리오 법제국장은 “민간인이 군용 방탄복을 필요로 하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며 “우리는 군사용 장비를 필요로 하는 상황에 있지 않다”고 꼬집었다. 협회는 현재 캘리포니아 주 의회가 추진하고 있는 민간인 방탄복 판매 금지법안을 지지하고 있다.

미국 법무부 산하 ‘주류ㆍ담배ㆍ화기와 폭발물 단속국(ATF)’에 따르면 방탄 장비에 대해 연방정부가 마련한 유일한 규제는 강력범죄 전과자는 이를 구입하거나 소유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판매 시점에서 이를 단속할 방법은 없다. 주 정부 차원에서 실질적인 규제가 이뤄지는 곳도 코네티컷 주 한 곳밖에 없다. 이 주는 방탄복에 대해 우편이나 인터넷 판매를 불허하고 직접 매장에서 사도록 하고 있다.

불과 수년 전만 해도 방탄복은 사실상 틈새시장 상품이었으며 군인과 경찰 등 전문직에 종사하지 않으면 구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최근에는 중소업체를 중심으로 방탄 장비를 판매하는 곳이 늘어났다. 전쟁 등 비상사태에 대비해 미리 식량과 무기, 탄약 등을 비축하는 이른바 ‘프레퍼족(Preppers)’을 대상으로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

문제는 이들 장비가 흉악범의 손에 들어갔을 경우다. 아직 방탄복에 대해 미국 내 통계가 나오는 곳은 거의 없다. 텍사스에 있는 ‘고등 법집행 비상출동 훈련센터’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 2000~2012년까지 총격범 110명 가운데 5%가 방탄복을 착용하고 있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