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우려에 머리 맞대는 주요국 중앙은행, 시장에 긴급 달러 유동성 공급 협조 움직임

입력 2016-06-17 09: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국 일본 유럽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이른 바 ‘브렉시트’에 대비해 긴박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들 중앙은행은 비상 시 금융시장에 달러화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협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앙은행들의 이같은 움직임은 2008년 리먼 사태와 2011년 유럽 재정 위기 이후 처음이다. 영국 파운드화 가치 급락 등을 계기로 시장이 동요치더라도 금융기관들이 달러 고갈로 인한 어려움을 최소화하자는 취지로 풀이된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은행(BOJ)의 경우, 현재 주 1회 달러 자금을 금융기관에 공급하고 있지만 달러 부족이 심각하다고 판단되면 연일 공급하는 체제로 전환할 방침이다. 유럽중앙은행(ECB)과 영란은행 등도 이를 놓고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과 구체적인 대응을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긴급 달러 자금 공급과 함께 주요 7개국(G7)이 긴급 성명을 낼 가능성도 있다.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16일 정례 금융정책결정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주요 중앙은행과 긴밀하게 연락하고 있다”며 “(달러 부족 사태가 일어나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15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후 기자 회견에서 재닛 옐런 연준 의장도 “영국의 EU 탈퇴가 세계 경제 및 금융 정세에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 구체적인 방안은 언급하지 않았지만 “유럽 시장에서의 달러 자금 공급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영국의 EU 잔류를 호소해온 영국의 한 여성 국회의원이 16일 50대 남성에 급습당해 목숨을 잃는 사건이 일어나면서 브렉시트 우려는 다소 누그러졌지만 브렉시트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된 건 아니다. 주요국 중앙은행들은 23일 브렉시트 찬반 국민투표가 강행되는 한 비상사태에 대비하려는 것이다. 이는 과거 리먼 사태 당시에 겪은 쓰라린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다. 당시 각국이 달러 가뭄에 시달리면서 국제 금융 시스템 불안으로 이어졌다.

이에 미국 연준과 을본은행, ECB, 영란은행, 캐나다은행, 스위스국립은행 등 6개 중앙은행은 지난 2011년 유럽 재정 위기 당시, 리먼 사태를 반면교사로 달러 유동성 공급 시 협조할 수 있는 틀을 마련했다. 이에 각국 중앙은행은 연준에서 달러 자금을 인출해 각자의 국가 및 지역 금융기관에 공급할 수 있게 됐다.

중앙은행들이 이처럼 긴박한 움직임은 브렉시트에 대비해 개별적으로 달러 자금 확보에 나서는 각국 금융기관에는 희소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앙은행들은 긴급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지만 달러 부채를 안고 있는 금융기관들에는 달러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