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노동 생산성 상승률 평균 2.6%→2010년대 0.5%로 낮아져
미국 경제 효율성을 나타내는 노동 생산성이 둔화하면서 경제전망을 놓고 전문가들 사이에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고 6일(현지시간)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근로자의 기능저하의 기술혁신의 제자리 걸음을 배경으로 경제가 장기적으로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새로운 기술과 경제동향이 통계에 제대로 반영되고 있지 않다는 반론도 나오고 있다. 노동 생산성의 침체는 향후 경제정책의 방향과 맞물려 큰 쟁점이 될 것이라고 신문은 내다봤다.
미국 노동부가 집계하는 비농업 부문 노동 생산성 지수는 올해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0.6% 올랐다. 2010년대 지수 평균 상승률은 0.5%로, 2000년대의 2.6%에 비하면 성장이 급격하게 약화한 것이다. 민간시장조사단체 콘퍼런스보드는 올해 노동 생산성이 전년보다 0.2% 떨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면 이는 34년 만에 첫 하락세를 나타내는 것이다.
노동 생산성은 근로자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창출했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떨어지면 장기적으로 경제성장 능력이 약화된다. 지표가 침체된 직접적 이유는 지금까지 고용이 순조롭게 늘어난 것에 비해 생산 회복이 완만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신문은 설명했다. 일손이 많이 드는 서비스산업이 고용증가를 견인하고 기업이 신규 설비투자에 신중한 대신 생산 증가를 일손에 의지하는 것도 생산성 둔화 원인이다.
노동 생산성 침체에 대한 구조적 이유를 놓고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비관론자들은 미국 기술혁신이 둔화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노스웨스턴대의 로버트 고든 교수는 “IT 혁명으로 2000년대 중반까지 다양한 산업에서 디지털화가 급속히 진행됐지만 현재는 그 효과가 쇠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로렌스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숙박공유업체 에어비앤비가 호텔 건설에 미치는 영향이나 차량공유 앱 우버로 인한 신차 수요 감소 등 공유경제가 기존 생산활동에 역풍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낙관론자들은 인터넷에서 확산되는 기술과 서비스의 무료 공개 등 생산성 지표가 잡아내기 힘든 새로운 트렌드가 존재하고 있다고 반박하고 있다.
생산성 동향은 미국 경제정책 향방을 좌우하게 된다. 통계가 맞다면 미국 경제 장기침체 예상이 현실성을 띠게 된다. 생산성이 낮아 임금상승 압력이 줄어들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기준금리 인상을 주저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