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5ㆍ6호기 건설, 벼랑 끝 울산경제 구원투수 되나

입력 2016-05-27 10: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7년간 8조6254억 투입… 전문공사 지역업체 우선 참여

원자력안전위원회는‘신고리원자력 5ㆍ6호기 건설허가안’에 대한 심의에 착수하면서 그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신고리 5·6호기가 건설되면 조선업 구조조정으로 침체된 울산지역경제 활성화의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크다.

원안위는 지난 26일 전체회의를 열고 2012년 9월 한국수력원자력이 건설허가를 신청한 지 4년 만에 처음으로 울산 울주군에 들어서는 신고리 5ㆍ6호기 건설허가를 심의했다. 이날 원안위는 신고리 5ㆍ6호기를 추가로 건설할 경우 지진·지질 등 부지 안전성과 사용후핵연료 저장조 용량 증대 등을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해 다음 회의 때 재논의하기로 했다.

현재 자동차ㆍ조선업이 깊은 침체의 늪에 빠지면서 울산지역은 일자리 감소로 지역경제에 빨간불이 켜진 상태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고리 5ㆍ6호기 건설은 지역경제를 살리고 지역주민의 실업문제를 해결할 구원투수 역할을 제대로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건설 사업은 약 7년간 총 공사비 약 8조6254억원이 투입되는 대형공사다. 본격적으로 인원이 투입되는 구조물공사가 시작되면 일평균 약 1500명, 일일 최대투입인원만 약 5000명에 달하게 된다. 공사에 필요한 인력은 지역 주민이 첫번째 대상이다. 또 한수원 측은 지역경기 활성화를 위해 전문공사의 하도급시 지역 건설업체를 우선적으로 참여시키며, 잡자재나 소모품은 지역업체로부터 우선 구매하도록 계약서에 명시해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원전건설 산업은 용접과 비파괴검사 등 조선업과의 유사공정이 다수 존재해 현대중공업 하청업체 인력들의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신고리 5·6호기 건설사업이 시작되면 자율유치에 따른 특별지원사업비 약 1600억원을 비롯해 생활기반시설과 소득증대지원 기금 약 1500억원, 기본지원사업 및 사업자지원사업비로 매년 약 100억원, 국도이설 등 인프라 구축사업 약 800억원이 건설기간 동안 울산 지역경제에 유입될 전망이다.

건설허가 후 공사에 착수하게 되면 신고리 5호기는 2021년 3월, 6호기는 2022년 3월 각각 준공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