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저금리시대 재테크] 미래에셋증권 ‘미래에셋 TIGER 섹터 ETF랩’

입력 2016-05-24 11: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섹터별 투자… 박스권서 수익창출

코스피지수는 2000선을 중심으로 6년째 박스권 공방전을 이어오고 있다. 따라서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수익창출이 쉽지 않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다. 이런 상황에 대한 투자 대안으로 미래에셋증권은 ‘미래에셋 TIGER 섹터 ETF랩(Korea 스마트베타)’을 지난해 2월 출시했다.

미래에셋 TIGER 섹터 ETF랩 근간인 ‘스마트베타전략’의 핵심은 시가총액 비중대로 투자하는 전통적, 수동적 방식에서 벗어나 섹터 간 적극적인 투자비중 조절로 수익을 창출하는 데 있다.

실제 시장은 박스권에 머물러 있지만 섹터별 성과차별화가 매년 관찰된다. 실제로 코스피 200 기준 시장 전체와 10개 섹터별로 연간등락률을 살펴보면 2013~2015년 해마다 섹터별 희비가 엇갈리는 흐름을 보였다. 예를 들어 시장 전체 수익률이 제자리에 가까웠던 2015년은 건강관리 섹터가 100% 이상, 생활소비재 섹터는 30%에 가까운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는 투자수익률 산정 기간을 연간에서 분기나, 월간 등으로 좁힐수록 더욱 뚜렷하게 관찰된다. 2015년 9월 산업재, 건강관리, 생활소비재 ETF가 상장되면서 TIGER 섹터 ETF는 코스피200을 구성하는 10개 섹터를 모두 갖추게 됐다는 점도 스마트베타전략의 실행이 가능해진 중요한 배경이다.

미래에셋 TIGER 섹터 ETF랩은 기업의 현금흐름 창출능력, 저평가여부, 비이성적 쏠림현상 등 이익전망, 밸류에이션, 투자심리 등을 중점적으로 살핀다. 이를 통해 향후 차별적 성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섹터를 선별해 투자한다. 그 후 상시적으로 포트폴리오를 모니터링하고 시황에 맞춘 적절한 리밸런싱을 통해 시장 지수 대비 초과 수익을 추구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한편 시장의 흐름과 무관하게 적지만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라면 ‘미래에셋 TIGER 섹터 ETF랩(Korea 인덱스헤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상품은 인버스 ETF를 시장여건에 따라 투자자산의 35~50% 안의 범위에서 탄력적으로 조절해 가며 수익률의 변동성을 낮추는 데 방점을 두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