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친박 보이콧에 지도부 공백 장기화 우려…사실상 '정신적 분당'

입력 2016-05-18 09:45수정 2016-05-18 09: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새누리당 전국위원회가 무산된 후 김용태 혁신위원장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혁신위원장 사퇴를 밝히고 있다. (뉴시스)

4·13 총선 패배 이후 새누리당 쇄신을 이끌어갈 주체인 지도부 공백 상태가 장기화되고 있다. 친박계 인사들이 새 지도부를 보이콧하면서 당 안팎에서 사실상 '정신적 분당'이라는 우려도 이어졌다.

18일 관련업계와 정치권 등에 따르면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구상한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이 전날 무산됐다. 당내 최대 계파인 친박계가 비대위·혁신위 출범에 제동을 걸면서 당분간 사태 정상화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친박계는 보이콧 배경에 대해 비대위원과 혁신위원장 인선이 비박(비박근혜)계에 지나치게 편중됐다고 설명했다.

원내대표 경선에서 정 원내대표가 당선된 것은 당내 주류인 친박계의 암묵적인 지원이 큰 역할을 했다는데 이견이 없다. 그러나 비대위·혁신위 인선 과정에서 친박이 철저히 배제된 것을 묵과할 수 없었다는게 비대위 보이콧에 대한 친박계의 주장이다.

친박계 재선인 이장우 의원은 언론을 통해 "차기 지도부 구성을 위해 전당대회를 준비하는 '관리형 비대위'를 꾸리겠다더니, 인선 내용은 전혀 딴판이었다"며 "정 원내대표가 아직 상황 판단을 제대로 못 하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인식에 공감한 친박계 초·재선 당선인 20명은 전날 성명을 내고 비대위원 및 혁신위원장 인선의 '원점 재검토'를 요구했다.

친박계는 상임전국위와 전국위원회 불참을 통해 정 원내대표 비대위원장 선출은 물론 정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으로 내정한 김세연 김영우 의원, 이혜훈 당선인 등의 추인도 무산시켰다.

총선 패배와 비대위 구성의 잡음이 이어지면서 새누리당이 결국 박근혜 대통령 임기 후반 '정신적 분당' 상태를 겪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다.

비대위와 혁신위 추인이 불발되자 혁신위원장에 내정된 김용태 의원은 즉각 기자회견을 열어 사퇴를 선언했다.

김 의원은 "새누리당은 국민에게 용서를 구할 마지막 기회를 얻었었다. 그러나 오늘 새누리당에서 정당 민주주의는 죽었다"면서 "앞으로 국민과 당원,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무시한 사람들과 싸우겠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