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6/05/600/20160516101348_870639_542_157.jpg)
16일 부동산114가 서울·수도권과 5대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에 있는 아파트 496만8130가구를 대상으로 2016년 5월 현재 전세가격과 4년 전인 2012년 5월의 매매가격을 비교한 결과 18%인 88만9487가구는 현 전세금이 4년 전의 아파트값과 같거나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대광역시는 이 비율이 33%에 달했다.
이는 주택 임대차시장의 월세화와 대규모 재건축에 따른 이주수요 등으로 극심한 전세 품귀 현상을 빚은 가운데 전세가격이 매매가격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올랐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은 2012년 5월 이후 4년간 48.59%의 상승률(2016년 5월 기준)을 기록한 반면 같은 기간 매매가 상승률은 2.37%에 그쳤다. 5대광역시 역시 최근 4년 동안 매매가격은 20.78% 올랐고 전세금은 32.7% 상승해 전셋값 상승률이 매매가 상승률에 비해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개별 단지 시세를 살펴보면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수성2차e편한세상` 전용면적 84㎡의 현재 전세가격은 4억6500만원 선으로 4년 전인 2012년 5월 당시 매매가격인 3억3000만원보다 1억원 이상 높은 수준이다. 광주광역시 북구 연제동 `연제1차대주피오레` 전용면적 84㎡ 역시 현재 전세가격이 4년전 매매가격(1억3750만원)보다 7000만원 가량 높은 2억1000만원에 형성돼 있다. 수도권에서는 경기도 용인시 동천동 풍림아파트 전용면적 59㎡ 전세금이 2억7500만원으로 4년 전 매매가격 2억1000만원에 비해 6500만원 정도 비싸다.
대구광역시와 광주광역시의 호당 평균 전세가격은 4년 전 매매가격 수준을 넘어섰다. 대구광역시는 2016년 5월 기준 호당 평균 전세가격이 2억1582만원으로 2012년 5월의 매매가격 1억8750만원 대비 15% 가량 높다. 광주광역시의 현재 호당 평균 전세가격은 1억4224만원으로 4년 전의 호당 평균 매매가격인 1억3886만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밖에 울산은 현재의 호당 전세가격이 4년 전 매매가격의 88%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전세금이 매매가격에 비해 훨씬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거나 월세로 빠르게 재편되는 임대차 시장 상황에서 전세 세입자는 저금리 대출을 활용한 내 집 마련이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팀장은 “전세금 인상과 이사에 대한 스트레스 없이 내 집에서 안정적인 주거가 가능하다는 점에서도 하나의 선택지로 고려해볼 만하다”면서 “다만 전세금이 최근 3~4년처럼 한 해 7~10%씩 급등세를 나타낼 가능성이 낮은 만큼 지역의 수급여건과 본인의 대출상환능력을 따져 매수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