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차명계좌 통해 어버이연합 지원 의혹

입력 2016-04-20 14: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경련이 차명계좌를 통해 보수성향 사회단체 어버이연합에 거액을 지원해왔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사진 위는 JTBC의 관련보도 화면, 아래는 집회 중인 어버이연합의 모습이다. (출처=JTBC 보도화면 / 뉴시스)

대기업·재벌들의 이익단체인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대표적인 보수단체 '어버이연합'에 거액의 돈을 후원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차명계좌를 통해 거액이 전달됐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논란이 예상된다.

20일 관련업계와 JTBC 보도에 따르면 극단적 언행으로 빈축을 사온 어버이연합에 대해 대기업 이익단체인 전경련이 거액을 지원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 JTBC는 한 기독교선교복지재단의 2014년 재단 계좌 입출금 내역을 공개하면서 "계좌가 사실상 어버이연합 추선희 사무총장의 차명계좌"라고 보도했다. 해당 계좌에는 전경련이 2014년 9월 4000만원을 입금했고, 그 해 11월과 12월 등 세 차례에 걸쳐 총 1억2000만원을 송금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보도에 따르면 해당 계좌는 어버이연합의 추선희 사무총장이 관리해왔다. 실제 계좌 거래내역을 보면 추 총장에게 네 차례에 걸쳐 1750만원이 송금된 것으로 나타났다. 어버이연합 사무실이 입주한 건물의 주인에게 600만원이 빠져나가 추 총장이 통장에 들어온 돈으로 어버이연합 사무실 임대료를 지급했다는 의혹이 이어지고 있다.

어버이연합은 그동안 세월호 진상규명 반대 집회를 열고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게 막말을 하는 등 극단적인 행동을 이어왔다. JTBC는 전경련 명의로 4000만원이 입금된 다음날 어버이연합이 전경련이 요구하는 민생법안 처리 촉구 시위를 벌였다고 보도했다.

해당 계좌가 실제로 어버이연합 차명계좌로 밝혀지고 돈을 보낸 주체도 전경련이라는 것이 사실로 드러난 경우 두 단체는 금융실명제법 위반과 조세포탈 등 혐의로 처벌받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특히 전경련이 시민단체에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집단행동을 하도록 돈을 대준 것이 사실로 판명되면 정치 개입 논란에 휩싸일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의혹에 대해 전경련은 "해당 계좌에 대한 송금 사실을 확인해 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어버이연합 측도 차명계좌 의혹을 부인하며 "해당 재단이 추 사무총장에게 빚진 돈을 갚은 것"이라는 입장을 알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